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45년
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1945년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의 멸망을 의미했다. 또한 강제 수용소가 해방된 해이자 전투에서 핵무기가 사용된 유일한 해이기도 하다.
Remove ads
연호
기년
사건
1월 ~ 6월
- 1월 - 조선총독부, 여학생을 대상으로 군수공장에 동원해 군복 깁기와 세탁을 시키고, 국민학생들에게는 솔가지와 솔뿌리, 목화뿌리 채취 지시
- 1월 25일 - 독일 최후의 대반격 벌지 전투 종료.
- 2월 9일 - 대한민국임시정부,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
- 2월 13일 - 2차대전: 영국과 미국 공군이 독일 작센주 드레스덴을 폭격하여, 수만 명의 시민이 사망하다.
- 2월 19일 - 제2차 세계대전: 미군, 이오지마섬에 상륙. 이오지마 전투 개시
- 3월 10일 - 제2차 세계대전: 미 공군 B-29 폭격기의 도쿄 대공습 감행
- 3월 18일 - 일제의 결전교육조치요강 선포로 조선의 국민학교 초등교과 이외의 학교 수업을 4월 1일부터 1년간 정지, 식량증산, 군수생산, 방공방위에 총동원
- 3월 26일 - 제2차 세계대전: 미군, 태평양전쟁 기간중 유일하게 일본군보다 많은 피해를 기록하며 이오지마 섬 점령.
- 4월 1일 - 제2차 세계대전: 미군, 오키나와 상륙. 오키나와 전투 시작.
- 4월 4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을 체결해 독자 군사행동권 획득
- 일제, 조선의 주요 도시에 소개령 발표
- 4월 5일 ~ 5월 20일 - 제2차 세계대전: 테셀 반란
- 4월 29일 - 일제, 관부연락선에 일반승객 승선 금지
- 4월 30일 - 아돌프 히틀러와 에바 브라운 자살.
- 5월 7일 -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에게 항복하다.
- 5월 9일 - 제2차 세계대전: 나치 독일이 소련에 항복하다. (서방 연합군에는 5월 8일에 항복)
- 5월 22일 - 일제가 전시교육령을 공포, 전 학교에 학도대 조직
- 6월 8일 - 친일단체 조선언론보국회 결성
- 6월 16일 - 일제, 조선국민의용대조직요강 발표
- 6월 23일 - 제2차 세계대전: 일본군이 오키나와 주요 섬의 남쪽 마부니 지역에서 미국군에 대한 조직적 저항이 끝나다.
7월 ~ 12월
- 7월 - 한국광복군의 국내 탈환작전 결정, 총지휘 이범석
- 7월 16일 - 맨해튼 계획: 미국이 트리니티 실험에 성공
- 7월 24일 - 경성 부민관에서 열린 대의당 주최 행사에 대한애국청년단원들이 폭탄을 장치, 폭파시킴
- 8월 6일 - 제2차 세계대전: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에 오전 8시 16분 (현지시각) 핵폭탄(리틀 보이)을 투하. 총 14만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 8월 8일 - 제2차 세계대전: 소련, 일본에 선전포고하면서 만주를 침공, 북한 웅기 상륙 작전 개시. 소련군이 한반도에서 발생한 유일한 태평양전쟁.
- 8월 9일 - 제2차 세계대전: 미국이 일본 나가사키에 오전 11시 2분 (현지시각) 핵폭탄(팻 맨)을 투하. 8만여 명이 사망하고 6만여 명이 피폭되었다.
- 8월 10일
- 8월 12일
- 8월 14일
- 8월 15일
- 8월 17일 -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
- 8월 28일 - 호치민, 베트남 민주 공화국 임시정부 수립.
- 8월 29일 - 미군, 일본 본토에 진주.
- 9월 2일
- 도쿄만에 정박 중인 미주리 호 함상에서 일본의 공식적인 항복조인식이 거행됨.
- 베트남이 프랑스령으로부터 독립.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성립.
- 9월 7일 - 미국 극동사령부, 38선 이남에 대한 군정을 선포.
- 9월 8일 - 존 리드 하지 미국 육군 중장이 이끄는 미국군, 인천에 상륙. 이날 상륙한 부대는 7사단 예하 육군 선발대였다.
- 9월 9일
- 9월 16일
- 9월 18일 - 경성부립도서관 종로분관이 서울특별시립 종로도서관으로 격상되었다.
- 9월 20일 - 군정기: 서울에 미군정청 설치. 이때 미군정청은 대한민국을 신탁 통치하는 기간 동안 영어를 공용어화하기로 결정하였다.
- 10월 1일 - 조선체육회(지금의 대한체육회) 발족(초대 회장 이병학).
- 10월 5일 - 군정기: 미군정청, 군정장관 고문에 김성수(金性洙) 등 한국인 11명 임명.
- 10월 9일 - 군정기: 미군정청, 치안유지법 등 12개 일제악법 폐지.
- 10월 24일 - 유엔 창설. 뉴질랜드, 니카라과, 덴마크, 도미니카 공화국, 미국, 벨라루스, 레바논, 룩셈부르크,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르헨티나, 아이티, 엘살바도르, 영국, 이란, 이집트, 중화민국, 칠레, 쿠바, 터키, 파라과이, 폴란드, 프랑스, 필리핀이 유엔에 가입하다.
- 10월 25일 - 그리스 유엔 가입.
- 10월 30일 - 인도 유엔 가입.
- 10월 31일 - 페루 유엔 가입.
- 11월 1일 - 오스트레일리아 유엔 가입.
- 11월 2일 - 라이베리아, 코스타리카 유엔 가입.
- 11월 5일 - 콜롬비아 유엔 가입.
- 11월 6일 - 일본 주둔 연합국 총사령부(GHQ), 일본 재벌에 해체 명령.
- 11월 7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유엔 가입.
- 11월 9일 - 캐나다 유엔 가입.
- 11월 13일 - 에티오피아, 파나마 유엔 가입.
- 11월 14일 - 볼리비아 유엔 가입.
- 11월 15일 - 베네수엘라 유엔 가입.
- 11월 21일 - 과테말라 유엔 가입.
- 11월 27일 - 노르웨이 유엔 가입.
- 12월 10일 - 네덜란드 유엔 가입.
- 12월 17일 - 온두라스 유엔 가입.
- 12월 18일 - 우루과이 유엔 가입.
- 12월 21일 - 에콰도르, 이라크 유엔 가입.
- 12월 27일 - 벨기에 유엔 가입.
- 일본, 스크린쿼터 폐지
Remove ads
탄생
1월
2월
3월
- 3월 1일 - 미국의 배우 더크 베네딕트.
- 3월 2일 - 이란의 배우 파르바네 마수미. (~2023년)
- 3월 3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영화감독 조지 밀러.
- 3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현. (~2008년)
- 3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진의장.
- 3월 7일 - 미국의 배우 존 허드. (~2017년)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세준. (~2024년)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종교인 종연.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양재성.
- 3월 16일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유만준.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삼구.
- 3월 21일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인 박제천. (~2023년)
- 3월 24일 - 미국의 영화감독 커티스 핸슨 (~2016년)
- 3월 28일 - 필리핀의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
- 3월 30일 - 영국의 가수,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튼.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완.
4월
5월
- 5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온영삼.
- 5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도향.
- 5월 7일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노식. (~2023년)
- 5월 12일 - 영국의 음악가 이언 맥라건. (~2014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영남.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이장호.
- 5월 16일 - 이탈리아의 기업인 마시모 모라티.
- 5월 18일 - 미국의 배우 캔디스 어자라.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성우 박태호.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맹호림.
- 5월 21일 - 미국의 배우 리처드 해치. (~2017년)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남상국. (~2004년)
- 5월 24일 - 미국의 배우 프리실라 프레슬리.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영수.
- 5월 29일 - 영국의 음악가, 피아니스트 게리 브루커. (~2022년)
- 5월 31일
- 독일의 영화 감독, 배우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1982년)
- 코트디부아르의 정치인 로랑 그바그보.
6월
7월
- 7월 1일 - 미국의 가수, 배우 데비 해리 (블론디).
- 7월 4일
- 7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수진.
- 7월 8일 - 미국의 기독교 성직자 어빈 백스터. (~2020년)
- 7월 9일 - 미국의 작가 딘 쿤츠.
- 7월 15일
- 7월 21일 - 프랑스의 정치인 조제 에브라르. (~2022년)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민성욱.
- 7월 24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다카다 시게루.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태열.
- 7월 26일 - 영국의 배우 헬렌 미렌.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병준.
- 7월 30일 - 미국의 색소폰연주자 데이비드 샌본. (~2024년)
8월
9월
- 9월 2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형근.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김성곤.
- 9월 4일 - 영국의 배우 겸 연극 프로듀서 빌 켄라이트.
- 9월 6일
- 9월 10일 - 푸에르토리코의 가수 겸 작곡가 호세 펠리시아노.
- 9월 11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행정가 프란츠 베켄바워. (~2024년)
- 9월 15일
- 9월 17일 - 미국의 농구 선수 필 잭슨.
- 9월 18일 - 미국의 프로그래머, 기업인 존 매커피. (~2021년)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선우용녀.
- 베네수엘라의 권투 선수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2024년)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최주봉.
- 9월 22일 - 세르비아의 축구 감독 일리야 페트코비치. (~2020년)
- 9월 24일 - 영국의 수학자 이언 스튜어트.
- 9월 25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프란스 얀선스. (~2024년)
- 9월 26일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동화.
10월
- 10월 1일
- 10월 2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돈 맥클린.
- 10월 3일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최수민.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방송 프로듀서, 언론인 강동순.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정치인 김을동.
- 10월 11일 - 중국의 사업가, 기업인, 음료업자 종칭허우. (~2024년)
- 10월 12일
- 10월 13일 - 수리남의 정치인 데시 바우테르서. (~2024년)
- 10월 14일 - 영국의 배우 가레스 포우드. (~2007년)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이석채.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최인호. (~2013년)
- 10월 18일 - 일본의 성우 와카모토 노리오.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맹곤. (~2018년)
- 10월 22일 - 미국의 가수 레슬리 웨스트. (~2020년)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조갑제.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 이태식.
- 10월 27일 - 브라질의 정치인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 10월 31일 - 일본의 정치인 오타 세이이치. (~2024년)
11월
12월
- 12월 1일 - 미국의 가수, 배우 벳 미들러.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연규진.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외교관 김재섭. (~2016년)
- 12월 13일 - 미국의 정치인 허먼 케인. (~2020년)
- 12월 14일 - 이란의 작가 겸 정치철학자 자바드 타바타바이. (~2023년)
- 12월 16일 - 일본의 요리사, 배우 하토리 유키오. (~2024년)
- 12월 19일 - 미국의 배우 일레인 조이스.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상조.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 장기표.
- 12월 30일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현식.
미상
Remove ads
사망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시인 윤동주. (1917년~)
- 3월 7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송몽규. (1917년~)
- 3월 12일 - 안네의 일기의 실제인물 안네 프랑크. (1929년~)
- 4월 12일 -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1882년~)
- 4월 21일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독일의 군인. 히틀러의 소방수로도 불림 발터 모델. (1891년~)
- 4월 28일 - 이탈리아의 정치인 베니토 무솔리니. (1883년~)
- 4월 30일 - 나치 독일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 (1889년~)
- 5월 1일 - 나치 독일의 정치인 요제프 괴벨스. (1897년~)
- 5월 4일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군인 페도어 폰 보크. (1880년~)
- 5월 20일 - 러시아의 과학자, 광물학자 알렉산드르 페르스만. (1883년~)
- 5월 23일 - 나치 독일의 SS전국지도자(SS총수), 정치인 하인리히 힘러. (1900년~)
- 8월 2일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피에트로 마스카니. (1863년~)
- 8월 7일 - 조선의 황족 이우. (1912년~)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홍장. (1926년~)
- 8월 21일 - 일본의 배우 소노이 케이코. (1913년~)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차리석. (1881년~)
- 9월 26일 - 헝가리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버르토크 벨러. (1881년~)
- 10월 24일 - 노르웨이의 정치인 비드쿤 크비슬링. (1887년~)
- 12월 6일 - 대한제국의 언론인 윤치호. (1865년~)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송진우. (1890년~)
Remove ads
노벨상
- 문학상: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물리학상: 볼프강 파울리
- 생리학 및 의학상: 알렉산더 플레밍 경, 에른스트 보리스 체인, 하워드 왈터 플로리 경
- 평화상: 코델 헐
- 화학상: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
달력
음양력 대조 일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