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절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Extinct in the Wild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절멸 위협별 보전 상태 |
---|
황금두꺼비(Bufo periglenes)는 1989년 이후로 목격되지 않아 절멸(EX)한 것으로 여겨진다. |
절멸 |
절멸(EX) 야생절멸(EW) |
절멸우려 |
위급(CR) 위기(EN) 취약(VU) |
낮은 위기 |
준위협(NT) 최소관심(LC) |
기타 등급 정보부족(DD) 미평가(NE) |
관련 항목 IUCN 적색 목록 국제자연보존연맹 |
|
야생 절멸(野生絶滅, Extinct in the Wild, EW)는 야생에 더 이상 개체수가 없으며, 야생으로 풀어놓을 경우 생존이 불가능한 종을 말한다.
괌뜸부기 등의 종에 이에 해당한다.
Text is available under the CC BY-SA 4.0 license; additional terms may apply.
Images, videos and audio are available under their respective licenses.
Cover photo is available under {{::mainImage.info.license.name || 'Unknown'}} license.
Cover photo is available under {{::mainImage.info.license.name || 'Unknown'}} license.
Credit:
(see original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