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가벼운비읍, 경비읍, 여린비읍, 순경음 비읍)은 한글 낱자 을 쌓아놓은 것이다.

간략 정보 ㅸ, 정보 ...

역사

15세기 한국어의 유성 양순 마찰음 [β] 소리를 나타냈던 것이라 여겨지는데[1], 두 모음 사이, y와 모음 사이, ㄹ과 모음 사이, ㅿ과 모음 사이의 제한된 환경에서만 나타났다.[2]

16세기쯤에 소리가 양순 연구개 접근음 [w]으로 바뀌면서 모음 /가 이 글자를 대신하며 사라졌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것이 ㅂ으로 남아 있다.

  • 곱다: 곱+아 → 고ᄫᅡ → 고와
  • 셔ᄫᅳᆯ → 서울
  • 수ᄫᅵ → 쉬이
  • -ᄉᆞᇦ- → -사옵-
  • 어려ᄫᅳᆫ → 어려운

외래어 표기에서의 사용

《한청문감》, 《동문유해》 등 만주어 문헌에서는 (묄렌도르프 로마자 전사의) f 발음을 표기하는데 쓰였다. 1948년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인 들온 말 적는 법에서는 [v]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쓰였다. 찌아찌아어의 한글 표기법에서도 마찬가지로 /v/를 표기하는 데에 쓰인다.

코드 값

자세한 정보 종류, 글자 ...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