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가로세로비 (영상)

영상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가로세로비 (영상)
Remove ads

영상가로세로비화면비라고도 불리며(보통 "x:y"의 형태로), 가로의 길이를 세로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기존 텔레비전 화면의 가로세로비는 4:3 혹은 1.33:1 이었다.

자세한 정보 공통 가로세로비 ...

고선명 텔레비전과 유럽의 디지털 텔레비전은 약 1.78:1의 16:9의 가로세로비를 사용한다.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의 경우에는 주로 2.39:1 이나 1.85:1의 가로세로비가 사용되었고, 35mm 필름의 프레임은 ("아카데미 레이쇼"라고 알려진) 1.37:1 가로세로비를 사용한다. 풀 프레임을 사용하는 무성 영화의 경우 1.33:1의 가로세로비를 사용한다.

Thumb
높이를 동등하게 맞춘 상태에서 가로세로비 비교
Remove ads

현행 비디오 표준

4:3 표준

9:16 표준

16:9 표준

18:9 (2:1)

1998년 이후로 영화 제작자 비토리오 스토라로는 18:9 (2:1) 포맷을 사용하는 Univisium이라는 이름의 포맷을 후원하고 있다.[2]

21:9 (7:3)

36:10 (3.6:1)

2016년에 아이맥스는 울트라 와이드스크린 3.6 포맷을 출시하면서[3] 36:10 가로세로비를 발표하였다.[4] 1년 뒤 삼성과 필립스는 32:9 비율을 갖춘 슈퍼 울트라와이드 디스플레이를 발표하였다. 울트라 와이드스크린 3.6 비디오 포맷은 훨씬 더 넓은 스크린X 270도 포맷의 영화가 개봉되면서 널리 퍼지지 못했다.[5]

과거 및 현재 사용되는 가로세로비

  • 1.19:1 (19:16)
  • 1.25:1 (5:4)
  • 1.33:1 (4:3, 12:9)
  • 1.37:1
  • 1.375:1 (11:8)
  • 1.43:1
  • 1.50:1 (3:2, 15:10)
  • 1.55:1 (14:9)
  • 1.60:1 (8:5, 16:10)
  • 1.6667:1 (5:3, 15:9)
  • 1.75:1 (7:4)
  • 1.77:1 (16:9 = 42:32)
  • 1.85:1
  • 1.896:1
  • 2.00:1
  • 2.20:1 (11:5, 22:10)
  • 2.35:1 (47:20)
  • 2.37:1 (64:27 = 43:33)
  • 2.39:1 (~12:5)
  • 2.55:1 (~23:9)
  • 2.59:1 (~13:5)
  • 2.66:1 (8:3, 24:9)
  • 2.76:1 (~11:4)
  • 4.00:1
  • 12.00:1

스틸 사진

스틸 사진(정적인 사진)의 공통 가로세로비는 다음을 포함한다:

  • 1:1
  • 5:4 (1.25:1)
  • 4:3 (1.33:1)
  • 3:2 (1.5:1)
  • 5:3 (1.66:1)
  • 16:9 (1.77:1)
  • 3:1

시각적인 비교

다음은 같은 지역을 나타내는 영상을 여러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 동일 대각선 크기를 사용한 영상:
Thumb
4:3 (1.33:1)
Thumb
16:9 (1.77:1)
  • 동일 면적 / 동일 수의 화소를 사용한 영상:
Thumb
4:3 (1.33:1)
Thumb
16:9 (1.77:1)
  • 동일 높이 / 동일 세로 크기를 사용한 영상:
Thumb
4:3 (1.33:1)
Thumb
16:9 (1.77:1)
  • 동일 너비 / 동일 가로 크기를 사용한 영상:
Thumb
4:3 (1.33:1)
Thumb
16:9 (1.77:1)

화면의 가로, 세로, 면적을 구하는 공식

화면의 사양은 대각선의 길이를 통해 구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의 공식은 높이(h), 너비(w), 면적(A)을 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은 비율(분수로 나타냄), d는 대각선 길이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