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가시나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가시나무
Remove ads

가시나무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참나무과에 속하며 겨울에 늘푸른 큰키나무이다. 가서목(歌舒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간략 정보 가시나무, 생물 분류ℹ️ ...

특징

한국의 전남, 경남의 해안 도서지방, 진도제주도에 자생한다. 다 자라면 높이가 20미터, 지름은 1미터 정도이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위쪽 가장자리에만 뾰족한 톱니가 있다. 개화기는 4월에서 5월이다. 꽃은 4월에 피는데, 수꽃이삭은 전해에 난 가지에서 밑으로 처져 달리고, 그보다 짧은 암꽃이삭은 새로 생긴 가지에 곧게 서서 달린다. 열매인 도토리는 10월에 익는다. 열매는 견과로, 가시라고 하며 뚜껑처럼 생긴 각두(깍정이)가 열매를 1/3~1/2 정도 감싸고 있다. 각두에 줄이 6~9개 있다. 바닷가에 방풍림으로 심거나 관상수로 재배하며, 열매를 먹는다.

종류

도토리가 달리는 나무로 상록성은 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가 있다. 낙엽성은 갈참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가 있다.

유래

가시나무는 그 이름 때문에 나무에 가시가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그렇지 않다. 가시나무라는 이름은 '가서목(歌舒木)→가서나무→가시나무'로 변화된 것이다. 가서목에서 가는 언니(형) 가(哥)이며 서는 떨 서(舒)이고 목은 나무 목(木)으로, 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것이 떠는 것같이 보인 데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참고 자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