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가운데땅의 역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J. R. R. 톨킨은 《반지의 제왕》에서 쓰이는 여러 개의 가운데땅의 역법을 고안했다.
임라드리스력
임라드리스력은 요정 (엘프)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서, 각 달의 명칭과 날짜 범위는 다음과 같다. (아래 칸은 12년마다 조정시기가 올 때의 범위이고, 모든 달의 이름은 꿰냐(중간 줄은 신다린)이다.[1]
또한, 임라드리스력은 윤년을 12년에 한 번씩 3일간 조정하며, 그 3일은 '엔데리'(가운뎃날)에 합쳐진다. 또한, 임라드리스력에서는 144년(12×12년)을 하나의 단위 옌(Yén)으로 규정한다. 또한, 한 해의 시작은 1월 1일이 아니라 3월 27일(그 당시 시기)로 규정되어 있다.[2]
임라드리스력의 한 주는 순서대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모든 요일의 이름은 꿰냐임(괄호 안은 신다린).); 엘레냐(오르길리온, 샤이어력의 성요일), 아나랴(오라노르, 샤이어력의 일요일), 이실랴(오리실, 샤이어력의 월요일), 알두야(오르갈라다드, 샤이어력의 목요일), 메넬랴(오르메넬, 샤이어력의 천요일), 발라냐(오르벨라인(로딘), 샤이어력의 신요일).[3]
현재, 임라드리스력을 현재의 태양력에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날짜로 '그 당시의 시기가 며칠인가'에 대하여서는 논의가 있는데, 혹자는 3월 27일, 또 혹자는 3월 29일을 주장한다. 그러나, 톨킨은 이에 대해 현재의 날짜가 어떠한지에 대하여 정확히 규정한 바가 없어서, 이는 현재의 복원가들에게 영원한 숙제로 남아 있다.
Remove ads
누메노르력과 제왕력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샤이어력
요약
관점
샤이어력은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호빗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서, 각 달의 명칭과 날짜 범위는 다음과 같다.[4] (아래 칸은 4년마다 윤년이 올 때의 범위이고, 괄호 안의 명칭은 브리력(브리에서 통용되는 샤이어력의 변종)의 달 이름이다.)
특징은 달 수가 그레고리력과 같은 12달이라는 점과, 임라드리스력의 한 해의 시작이 3월 27일인데 비해, 샤이어력의 그것은 그레고리력의 그것과 비슷한 1월 3일이라는 점이다.[5] 또한 샤이어력의 한가운뎃날과 리세우수릿날은 요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요일인 날이 1년에 364(7×52)일이므로, 샤이어력은 모든 해의 달력이 전부 같다.[6]
샤이어력에서 한 주는 첫째 날인 성요일(星曜日, 스터데이)에 시작되어 마지막 날인 신요일(神曜日, 하이데이)에 끝난다.[7] 샤이어력의 신요일은 그레고리력의 일요일에 가까운 날으로, 휴일(정오 이후)이다. 따라서 샤이어력의 성요일은 그레고리력의 월요일에 더 가깝고, 샤이어력의 해요일(海曜日, 메르스데이)은 그레고리력의 토요일에 해당된다.[8]
샤이어력의 한 주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성요일(별의 날, 스터데이:Star+day), 일요일(해의 날, 선데이:Sun+day), 월요일(달의 날, 먼데이:Moon+day), 목요일(백색나무의 날, 트류스데이:Trees+day), 천요일(하늘의 날, 헤벤스데이:Heavens+day), 해요일(바다의 날, 메르스데이:Mers+day), 신요일(발라(위대한 신)의 날, 하이데이:High+day).[9]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