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가족오락관

1984년 예능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가족오락관》(家族娛樂館)은 1984년 4월 3일부터 2009년 4월 18일까지 방송된 KBS 2TV, KBS 1TV예능 프로그램이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Remove ads

기획 의도

시청자들이 부담없이 웃고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오락과 게임을 제공함으로 생활의 활력소가 되게 한 프로그램.

역사

요약
관점

황금 시간대

1984년 4월 3일 KBS 2TV에서 첫 방송을 시작하여, 높은 인기로 호평을 받았다. 가족 단위의 출연자들이 다양한 게임과 퀴즈를 통해 경쟁하며 즐거움을 주는 형식이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방송 시간이 변경되면서 더욱 다양한 게임과 형식이 도입되었다. 1990년대에는 방송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프로그램의 형식도 점차 발전하였다.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조하는 다양한 게임과 미션이 추가되었으며, 출연자들의 참여 방식 또한 더욱 다채로워졌다.

한때 35% 전후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KBS 뉴스 9와 맞물리는 시간대에 방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5~17%의 시청률을 유지하였다.

2000년 가을 개편에 따라 KBS 2TV에서 KBS 1TV로 채널을 변경하였으며, 방송 시간 또한 매주 토요일 저녁으로 조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0% 이상의 시청률을 꾸준히 기록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프로그램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면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에 따라 10대와 20대 젊은 층의 관심이 점차 감소하였다.

쇠퇴기

기존의 프로그램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방송이라는 본래의 취지와 달리, 세대 간 시청층이 분리되었으며, 방송 환경 또한 변화하면서 《무한도전》과 《일요일이 좋다》 등 경쟁 예능 프로그램에 젊은 시청자층을 대거 내주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가족오락관은 점차 중장년층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었으며, 심지어 제작진의 인터뷰에서도 “중장년층을 위한 방송”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졌다.

결국 시청률도 6~7%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 시청자들의 관심 변화 속에서 프로그램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었다.

그렇게 6~7%의 시청률을 유지해오던 가족오락관은 2009년 봄, 석연치 않은 일을 겪었다. 2009년 2월 28일 방송 말미에는 "다음 주 토요일 저녁 7시 10분"이라는 자막이 표출되었으나, 한 주 결방된 이후 시청자들에게 별다른 공지 없이 2009년 3월 14일부터 갑작스럽게 방송 시간이 토요일 저녁 5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

방송 시간이 가족 시청이 어려운 시간대로 조정되면서 시청률도 급격히 하락하여 애국가보다 낮은 3.6%까지 떨어졌다. 또한 폐지 두 달 전에 PD가 교체된 점 역시 프로그램의 종료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1]

결국, KBS는 가족오락관의 폐지를 공식적으로 결정하였으며, 2009년 4월 18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25년간 이어온 긴 역사를 마감하였다.

Remove ads

방송 시간

자세한 정보 방송 채널, 방송 기간 ...

역대 진행자

※ 《가족오락관》은 남여 MC 각각 1명씩으로 2명이 진행하였다. 남성 MC는 생전 (故)허참 방송인이 첫회부터 최종회까지 고정으로 맡았다. (故)허참과 함께 호흡을 맞춰 진행한 역대 여성 MC는 21명이며, 이 중에서 KBS의 여자 아나운서는 총 11명으로 전직 5명과 현직[g] 6명이다.

자세한 정보 대수, 진행자 ...
Remove ads

역대 여는 곡

  • 1984년 ~ 1988년: Zambesi - The Shadows
  • 1988년 ~ 1995년: Digital Emotion - Get Up, Action
  • 1995년 ~ 1996년 8월 21일: 가족오락관 자체 BGM/클론 쿵따리 샤바라
  • 1996년 8월 28일 ~ 1998년 2월 11일: 터보 - Twist King
  • 1998년 4월 22일 ~ 1998년 6월 10일: 오룡비무방 - 비밥바 룰라 룰라
  • 1998년 6월 17일 ~ 1998년 12월 9일: Bellini - Samba De Janeiro
  • 1998년 12월 23일 ~ 1999년 6월 2일: Orchestral Manoeuvres In The Dark - Pandora's Box
  • 1999년 6월 9일 ~ 2009년 4월 18일: Dr. Bombay - My Sitar
Remove ads

동일 소재 프로그램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Remove ads

결방 및 편성 변경 안내

편성 변경

  • 1996년
    • 12월 18일, 12월 25일: 송년 특집, 크리스마스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20분부터 밤 9시 15분까지 방송.
  • 1998년
    • 4월 22일: 700회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30분부터 밤 9시 40분까지 방송.
  • 1999년
    • 2월 17일: 설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30분부터 밤 9시 45분까지 방송.
  • 2000년
    • 4월 5일: 800회 특집 방송으로 저녁 8시 40분부터 밤 9시 55분까지 방송.
    • 12월 30일: 송년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에 조기 시작.
  • 2002년
    • 9월 7일: 저녁 5시 30분에 조기 시작.
    • 9월 21일: 추석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40분부터 저녁 6시 50분까지 방송.
    • 12월 21일: 저녁 5시 30분에 조기 시작.
  • 2004년
    • 6월 19일: 1000회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30분부터 저녁 7시까지 방송.
    • 12월 25일: 성탄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에 조기 시작.
  • 2005년
    • 9월 17일: 추석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에 조기 시작.
  • 2006년
  • 2007년
    • 2월 17일: 설 특집 방송으로 저녁 5시 50분부터 저녁 7시까지 방송.
  • 2008년
    • 8월 23일: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방송 편성으로 인해 저녁 5시 45분부터 6시 45분까지 방송.
    • 11월 15일 : KBS 대기획 농업강소국, 희망의 조건 다큐멘터리 방송 편성으로 인해 저녁 5시 50분부터 6시 50분까지 방송.

결방

  • 1985년
    • 8월 20일: 다큐 〈병사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편성.
    • 12월 31일: 〈1985 팝의 세계〉 편성.
  • 1990년
    • 4월 17일 ~ 5월 15일: KBS 사태.
  • 1991년
    • 1월 1일: 신년특집 〈스타 총출동〉 편성.
  • 1994년
    • 12월 30일: 1994 KBS 가요대상 중계방송.
  • 1999년
    • 12월 29일: 1999 KBS 코미디 대축제 중계방송.
  • 2003년
  • 2005년
    • 10월 1일: 2005 국군 가요제 중계방송.
    • 10월 29일: 특집 방송 〈가치 대발견 보물 찾기〉 편성.
    • 11월 19일: APEC 대한민국-러시아 기자회견 중계방송.
  • 2006년
    • 1월 28일: 설 특집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 4월 8일: 2006년 한국프로야구 개막전 중계 방송.
    • 5월 20일: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 8월 5일: A3 챔피언스컵 〈울산 현대 vs 감바 오사카〉 중계방송.
  • 2007년
    • 3월 3일: KBS 창사 특집 편성.
    • 12월 22일: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 2009년
    • 3월 7일, 4월 11일: 방송사 내부 사정으로 인한 결방.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