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간토 단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간토 단편
Remove ads

간토 단편(일본어: 関東フラグメント かんとうフラグメント[*], Kanto fragment)은 태평양판의 단편이 일본 간토 지방 지하에 존재한다는 가설에 근거한 판 구조를 말한다.[1][2]

Thumb
일본의 간토 단편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빨강색으로 그린 지도.

간토 지방 부근은 유라시아판(또는 아무르판) 아래에 서북서 방향으로 향하는 필리핀해판이 침강하고 있으며 여기에 서북쪽으로 향하는 태평양판도 같이 침강하고 있다. 간토 단편 가설에 따르면 현재로부터 대략 200-300만년 전 태평양판의 해령이 판 아래로 들어가 섭입될 때 판 사이 마찰력이 갑자기 늘어나 태평양판 일부가 조각으로 깨지면서 판 단편이 생겼다고 주장한다. 이 단편은 간토 지방 도치기현 남부에서 가나가와현 북부 사이 지역에 깊이 30-100km 부근에서 두께 25km, 100km 길이로 존재한다고 추정한다. 단편이 생기면서 태평양판은 이 단편 아래로 섭입되어 침강되고 있으며 간토 지하는 총 4개 판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이 가설이다.

간토 단편 가설에 따라 판 경계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간토 지방의 직하지진이 많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판 단편은 육지 바로 아래 있지만 아랫쪽에 판 경계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규모가 큰 판 경계간 지진(해구형지진의 일종)이 직하지진처럼 일어난다고 설명한다. 이 설에서는 1855년 일어난 안세이 에도 지진도 간토 단편에서 일어난 판 경계형 지진이라고 주장한다. 향후 일어날 것으로 추정되는 미나미칸토 직하지진도 이러한 사실상의 판 경계형 지진이 올 수도 있다는 가설도 나오고 있다.[3][4]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