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리명 |
마을유래 |
자연마을 |
비고 |
방교리(芳橋里) |
본래 태인군 은동면(銀洞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소일리(小一里), 이리(二里), 삼리(三里), 명당리(明堂里), 점촌(店村)과 사곡면(師谷面) 옥단동(玉丹洞), 천곡리(天谷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방아다리가 있기 때문에 방교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원삼(元三) 마을 2) 횡룡(橫龍) 마을 3) 동곡(東谷) 마을 4) 오공(蜈蚣) 마을 5) 학당(學堂) 마을 |
|
진흥리(眞興里) |
본래 태인군 은동면(銀洞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산직촌(山直村), 대사리(大四里), 신흥리(新興里), 진교리(眞興里), 점촌(店村)과 군내면(郡內面) 여속리(餘粟里)각 일부를 병합하여, 진교와 신흥리의 약칭인 진흥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석점(石店) 마을 2) 진농(眞農) 마을 3) 진산(眞山) 마을 4) 진교(眞橋) 마을 5) 소제(蘇提) 마을 6) 산지(山芝) 마을 7) 녹촌(綠村) 마을 |
|
대신리(大新里) |
본래 대체적으로 태인군 은동면(銀洞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에 소사리(小四里), 신기리(新基里)와 감산면(甘山面) 팔리(八里), 대구리(大九里) 및 「사곡면」(師谷面) 신감리(新甘里)각 일부를 병합하여, 대구와 신기의 약칭 대신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 하였다. |
1) 풍촌(豊村) 마을 2) 유치(油峙) 마을 3) 천촌(天村) 마을 |
|
통석리(通石里) |
본래 태인군 은동면(銀洞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오리(五里), 육리(六里), 칠리(七里), 반곡리(盤谷里), 과신리(果新里), 팔리(八里), 대구리(大九里), 소구리(小九里), 반룡리(盤龍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 지역의 다른 마을 이름을 통사(通司)와 석정(石亭)의 약칭으로 통석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 하였다. |
1) 석정(石亭) 마을 2) 순촌(蓴村) 마을 3)과반(果盤) 마을 4) 녹동(鹿洞) 마을 5) 통사(通司) 마을 |
|
계룡리(桂龍里) |
본래 태인군 감산면(甘山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계봉리(桂峰里), 대삼리(大三里), 신삼리(新三里), 사리(四里), 반용리(盤龍里), 소이리(小二里)와 금구군(金溝郡) 수류면(水流面) 구암리(九岩里)각 일부를 병합하여 계봉 반용을 약칭한 계룡리라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반룡(般龍) 마을 2) 장무(長蕪) 마을 3)관봉(觀峰) 마을 4) 계봉(桂峰) 마을 |
|
화봉리(花峰里) |
본래 태인군 은동면(銀洞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일리(一里), 신기리(新基里)와 감산면(甘山面) 소이리(小二里), 반용리(盤用里) 및 사곡면(師谷面)의 신감리(新甘里), 회암리(回岩里)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 지역에 있는 화봉산의 이름을 따서 화봉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 하였다. |
1) 천곡(天谷) 마을 2) 화삼(花三) 마을 3) 감산(甘山) 마을 4) 화일(花一) 마을 |
|
유정리(儒丁里) |
본래 태인군 사곡면(師谷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삼평리(三坪里), 북리(北里), 하송리(下松里)와 김제군 남면(南面) 만복리(萬福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삼평이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상평(上坪) 마을 2) 신평(新坪) 마을 3) 중평(中坪) 마을 4) 하평(下坪) 마을 |
|
삼평리(三坪里) |
본래 태인군 사곡면(師谷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삼평리(三坪里), 북리(北里), 하송리(下松里)와 김제군 남면(南面) 만복리(萬福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삼평이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상평(上坪) 마을 2) 신평(新坪) 마을 3) 중평(中坪) 마을 4) 하평(下坪) 마을 |
|
용곽리(龍郭里) |
본래 태인군 사곡면(師谷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하여 상송리(上松里), 하곽리(下郭里), 산전리(山田里), 회룡리(回龍里), 하송리(下松里), 소칠리(小七里), 상곽리(上郭里)와 북촌면(北村面) 요동(寥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회룡과 상, 하송 곽동을 약칭한 용곽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상하송(上下松) 마을 2) 곽동(郭洞) 마을 3) 회암(回岩) 마을 4) 모산(帽山) 마을 |
|
승방리(勝芳里) |
본래 태인군 사곡면(師谷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원남리(元南里), 상곽리(上郭里), 원중리(元中里), 원당리(元堂里), 북리(北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 지역에 있는 승방산(勝芳山)이름을 따서 승방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승북(勝北) 마을 2) 승산(勝山) 마을 3) 중남(中南) 마을 4) 방남(芳南) 마을 |
|
오주리(五舟里) |
본래 태인군 사곡면(師谷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오주리(五舟里)와 원중리(元中里)일부를 병합하여 오주리라 하고, 정읍군 감곡면에 편입하였다. |
1) 양오(陽五) 마을 2) 용오(龍五) 마을 3) 장촌(張村) 마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