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쇠조화진동의 지배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것을
항의 계수
으로 나머지 항들을 나누고,
계속해서,
고유진동수
와 감쇠비
를 도입하고, 소멸미분연산자(Annihilated Differential Operator)를 대입하면,
로 가정하면,


따라서, 특성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의 해를 찾으려면 2차 방정식에 근의 공식을 대입하면,


이를 정리하면,

과감쇠(과도감쇠)
특성방정식이 두 개의 실근이 있을 때를 과(도)감쇠(overdamped)라고 하며, 이때 응답은 지수로 감소하며, 진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displaystyle x(t)=e^{-\zeta \omega _{n}t}\left[Ae^{{\sqrt {\zeta ^{2}-1}}\omega _{n}t}+Be^{-{\sqrt {\zeta ^{2}-1}}\omega _{n}t}\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ba947fabb0b3c3cd7a008ad2bd6f8938dad5e24)
여기서 A와 B는 초기조건에서 결정되는 상수이다.
저감쇠(과소감쇠)
특성방정식이 두 개의 허근을 갖는 경우를 저감쇠(과소감쇠)(underdamped)라고 하며, 이 때는 진동이 발생한다. 즉, 응답은 지수로 감소함과 동시에 진동을 한다....
초기조건
,
에 해는,
![{\displaystyle x(t)=e^{-\zeta \omega _{n}t}\left[x_{0}\cos {\omega _{D}t}+{\frac {{\dot {x}}_{0}+\zeta \omega _{n}x_{0}}{\omega _{D}}}\sin {\omega _{D}t}\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80cd3e1f00a73ee4e3d93197643b1465a03b598)
여기서 감쇠진동수 ωD는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