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감자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감자밥
Remove ads

감자밥한국 요리의 하나로 쌀에 감자를 같이 넣어 지은 으로, 과거 쌀이 귀했던 지역에서 구황식에서 유래한 음식이다.

Thumb
감자밥

역사

1824~1825년 경 한반도에 처음 전해진 감자는 가뭄과 장마에 강하여 구황작물로 보급되면서 1847년에는 전국에서 재배하였다. 그중 쌀농사가 어려웠던 함경도의 산골짜기 촌락에서는 감자농사로 1년 양식을 확보하기도 했고, 마찬가지로 쌀이 귀한 강원도에서도 기후와 토질이 감자 농사에 알맞아 감자 농사를 많이 지었다. 감자밥은 쌀이 귀한 지역에서 쌀밥에 감자를 섞어 함께 먹으며 허기를 달랬던 구황식이다. 감자밥 이전에도 이미 연뿌리, 고구마, 대나무열매 등을 섞은 구황용 밥이 존재했기 때문에 감자밥도 빠르게 보급될 수 있었다.[1][2]

요리법

쌀을 씻어 약 30분간 물에 불리고, 감자는 껍질을 벗겨 2cm 정도로 깍둑썰어 준비한다. 쌀과 감자를 섞어 안치고 물을 부어 흰밥 짓는 요령으로 밥을 짓는다. 밥을 풀 때 감자를 주걱으로 으깨어 밥과 함께 섞어 퍼 먹는다.[3]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