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금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금구(Kang Kym gu, 1966년 9월 20일~)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2025년부터 아제르바이잔 주재 대한민국 대사를 맡고 있다.[3] 외무고시 23회로 1989년 외교부에 입부했으며,[2] 스웨덴·EU·호놀룰루·프랑스 등에서 근무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주파푸아뉴기니 대사를 역임했고,[6] 2022년에는 주미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대리대사(차석대리)를 맡았다.[4] 아제르바이잔 부임 이후 에너지·투자·재난안전·문화 교류를 중심으로 양국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7][8]
Remove ads
어린 시절과 교육
강금구는 1988년 서울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97년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경력
- 1989년: 대한민국 외교부 입부.[2]
- 2002년 12월: 주스웨덴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4]
- 2003년: 주벨기에·유럽연합 대표부 참사관(브뤼셀).[9]
- 2005년: 외교통상부 유럽1과 Deputy Director(본부 근무).[10]
- 2006년: 대통령비서실 파견 근무.[4]
- 2007년: 외교통상부 유럽지역협력과장(Director).[11]
- 2008년: 국무총리실 파견 근무.[4]
- 2009년 12월: 주벨기에·EU 대표부 참사관(브뤼셀).[4]
- 2012년 6월: 주호놀룰루 총영사관 부총영사(Deputy Consul General).[12]
- 2014년 7월: 주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Minister-Counsellor).[13]
- 2017년 3월: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국제협력관.[4]
- 2018년 4월–2021년 5월: 주파푸아뉴기니 대한민국 대사(겸임: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14][15][6]
- 2022년 1월–2025년 4월: 주미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대리대사(Chargé d'affaires a.i.).[4]
- 2025년 4월 29일: (서울) 신임장 제정.[5]
- 2025년 5월 23일: 아제르바이잔 외교장관에게 신임장 사본 제정 및 부임 개시.[16][17]
- 2025년 6월 15일: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에게 신임장 제정(바쿠).[3]
Remove ads
외교 활동
아제르바이잔 (2025– )
강금구는 부임 직후 아제르바이잔 외교장관과 면담해 양국의 양자·다자 협력 의제를 논의했고,[16][17] 2025년 6월 15일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했다.[3] 그는 투자·산업 협력 확대를 위해 아랏 자유경제구역(AFEZ)을 방문해 인센티브와 법제 프레임을 확인하고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을 논의했다.[18] 에너지 분야에서는 아제르바이잔 에너지부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참여를 협의했고,[7] 국방·안보 및 재난대응 분야에선 비상사태부와의 실무협력 확대 의지를 확인했다.[8] 문화·인적교류 측면에서는 바쿠 K-POP 페스티벌 등 한류 행사를 후원·참석해 현지 청년층의 한국 문화 접근성을 높였고,[19] 카스피안 아그로·인터푸드 전시회 한국관을 찾아 산업·식품 분야 협력의 접점을 모색했다.[20] 또한 카라바흐 지역을 방문해 복구·개발 현황을 점검하며 지역 평화 정착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21]
파푸아뉴기니 (2018–2021)
주파푸아뉴기니 대사로 재임하며 솔로몬 제도·바누아투 겸임 공관장으로서 각국 정상 및 장관과의 신임장 제정과 협력의제 논의를 수행했다.[14][15] 임기 말에는 파푸아뉴기니 정부와 상설 대사관 부지 문제, 경제 협력 의제 등을 협의했다.[6]
유럽 및 본부 근무 (2000년대)
브뤼셀 주재 EU 대표부에서 정무·다자 현안을 담당했고,[9] 본부 유럽국에선 유럽지역협력과장으로 OSCE 각료이사회 등 다자 회의에 한국 대표단 일원으로 참가해 유럽 지역협력 의제를 조율했다.[11][10] 또한 2014년에는 주프랑스 대사관 공사로서 문화·정무 현안을 담당했다.[13]
외교 기조
강금구는 남캅카스의 항구적 평화 정착이 경제·문화 협력의 토대라고 보고, 에너지·인프라 투자와 문화·교육 교류의 병행을 중시한다. 그는 “바쿠 시내를 걸으면 한국어 인사를 받는다”며 한국 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아제르바이잔인들의 관심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22] 아울러 재난·치안 대응 분야에서의 기관 간 실무협력과 경험 공유를 강조하며, 산업·투자 협력에선 자유경제구역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연계하는 접근을 취하고 있다.[8][18][7]
주아제르바이잔 대사 취임
2025년 4월 29일 서울에서 신임장을 제정한 뒤,[5] 5월 23일 아제르바이잔 외무장관에게 신임장 사본을 제정하고 공식 임무를 개시했으며,[16][17] 6월 15일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했다.[3] 아제르바이잔 외교부 외교명부에는 ‘Kym gu Kang’으로 등재되어 있다.[23]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