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감소계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강도감소계수(強度減少係數, strength reduction factor, )는 건설 등 재료의 공칭 강도와 실제 강도 사이에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차이나 제작 및 시공상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여 부재를 보강하는 안전 계수이다. 철근-콘크리트에서 인장강도를 무시하는 휨강도의 는 철근의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 와 함께 항복강도 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강도감소계수
요약
관점
철근 항복강도 400MPa인 경우
인장부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변형률과 중립축 깊이
![]() |
예시 : SD400 철근 또는 PS강재 |
강도설계법에서 강도감소계수는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을 통해 결정한다.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는 압축연단에서 최외단 인장철근까지 깊이(d)에서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 거리(c)를 뺀 인장부의 깊이(d-c)와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 거리(c)의 비에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가정된 극한변형률 0.003과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의 비를 동등하게 놓으면 이를 얻을수있다.
따라서
지배단면 별 강도감소계수
한편 콘크리트 구조기준의 해석과 설계원칙에 따라 압축지배단면(compression-controlled section)의 강도감소계수 는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사용 철근 종류 | 강도감소계수 |
나선철근 | 0.70 |
기타 철근 | 0.65 |
한편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다음과 같다.[1]
β1은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과 관계된 계수로,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에 따라 결정된다.[2]
변화구간 단면의 강도감소계수는 압축지배단면일 때, 그리고 인장지배단면일 때 강도감소계수 값을 선형보간하여 계산한다.
- : 압축지배단면에서 강도감소계수
철근 항복강도가 400MPa이 아닌 경우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 인장지배 변형률 한계값이 변화한다.

철근 종류 | 압축지배 변형률 한계 | 최소허용변형률 εmin | 인장지배 변형률 한계 |
---|---|---|---|
SD 400 이하 | εy | 0.004 | 0.005 |
SD 400 초과 | εy | 2.0εy | 2.5εy |
PS 강재 | 0.002 | - | 0.005 |
εy는 철근의 항복변형률이며, 후크의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변화구간 단면의 강도감소계수는 마찬가지로 압축지배단면일 때, 그리고 인장지배단면일 때 강도감소계수 값을 선형보간하여 계산한다.
강도감소계수 정리 표
부재 단면 또는 하중(단면력 종류) | 강도 감소 계수 Φ | |
---|---|---|
인장 지배 단면(휨부재) | 0.85 | |
압축지배단면 | 나선 철근 부재 | 0.70 |
그 외 | 0.65 | |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 εt가
압축지배와 인장지배 단면 사이에 있을 경우 |
εt가 압축지배변형률 한계에서 0.005로 증가함에 따라
Φ값을 압축지배 단면에 대한 값에서 0.85까지 증가 | |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 | 0.75 | |
콘크리트의 지압력
(포스트텐션 정착부, 스트럿-타이 모델은 제외) |
0.65 | |
포스트텐션 정착구역 | 0.85 | |
스트럿-타이 모델 | 스트럿, 절점부 및 지압부 | 0.75 |
타이 | 0.85 | |
긴장재 묻힘 길이가 정착길이보다 작은 프리텐션 부재의 휨단면 | 부재 단부에서 절단 길이 단부까지 | 0.75 |
절단 길이 단부에서 정착 길이 단부 사이 | 0.75에서 0.85까지 선형 증가 | |
무근 콘크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 | 0.55 |
같이 보기
- 응력-변형도 곡선
- 철근-콘크리트 공학
- 휨 모멘트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