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정항 (서귀포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정항(江汀港)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에 있는 어항이다. 1999년 12월 30일 지방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관리청은 제주특별자치도, 시설관리자는 서귀포시장이다.
Remove ads
연혁
어항 구역
- 수역: 강정항 어촌계회관 서측 20m 지점(N: 33°13′26″, E:126°28′37″)에서 남쪽 방향으로 190m, 동쪽 방향으로 360m, 북쪽 방향으로 325m 정도 이동하여 육지부와 접속한(N: 33°13′31″, E:126°28′51″) 지점의 선내의 구역
- 어항 구역 면적: 117,000m2, 항내 수면적: 20,300m2
어항 시설
주요 어종
관련 축제
- 강정천 은어 축제
사건·사고 및 논란
제주해군기지 논란
2007년 5월 14일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불과 80여명이 참가한 도민 여론조사를 근거로 제주해군기지 최우선 대상지로 선정·발표함으로써 강정마을을 해군기지건설로 발전시키려는 측과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측 사이에 심한 갈등에 휩싸여 있다.[1]
2010년 12월 27일 국토해양부는 2011년도 업무 계획에서 강정항을 해군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국가관리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2]
2011년 7월 27일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지낸 김무성 의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강정마을 주민들을 '종북분자', '김정일의 꼭두각시'라고 지칭하며 노골적인 색깔론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북한은 70여척을 동원해 2개 여단의 특수병력을 30분내 백령도에 침투시킬 황해도 기지를 불과 7개월 만에 완공하는데 제주 해군기지는 (종북세력의) 책동에 휘말려 몇 년째 공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공사를 저지하고 있는 세력들은 입으로는 평화를 외치지만 사실은 김정일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고 있는 종북세력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군기지 건설은 2007년 노무현 정권 때 결정된 중요한 국책사업인데 종북분자 30여명의 반대 데모 때문에 중단되고 있다"며 "이들이 반대하는 것은 북한에 불리한 것은 하지 말자는 종북적 행태"라고 거듭 비난했다. 이어 "공권력의 실추가 계속돼서는 안 된다"며 "해군기지 건설 현장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강력한 공권력 투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3] 강정마을의 제주해군기지 논란은 아랍권을 대표하는 방송사 알자지라에 보도되기도 하였다.[4]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