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철종

대한민국의 역사가 (1918–1974)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철종(姜喆鍾, 1918년~1974년 10월 30일)은 대한민국역사학자이다.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1966년에는 제10대 문리과대학장을 역임했다.[1]

간략 정보 강철종姜喆鍾, 출생 ...
간략 정보 강철종 ...
Remove ads

생애 및 연구 분야

강철종은 함경남도 이원에서 태어나 보성중학교혜화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남한으로 월남(越南)하여 전북대학교에서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조선시대 불교 중흥 운동과 그 사회적 함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2]

학력

경력

주요 저서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된 단행본

  • 《동양사화》 1962년, 동서출판사
  • 《동양사화》 1970년, 동서출판사
  • 《세계문화사개설》 1974년, 유병기와 공저, 학우사
  • 《최신 세계문화사》 1975년, 유병기와 공저, 학우사
  • 《(설화)세계역사전집》 1977년, 1 - 5권, 서한사[5]

국회도서관에 보관된 단행본

  • 《동양사화》 1962년, 동서출판사
  • 《세계문화사개설》 1963년, 이외윤과 공저, 조암문화사
  • 《세계문화사개설》 1974년, 유병기와 공저, 학우사
  • 《최신 세계문화사》 1975년, 유병기와 공저, 학우사[6]

기타 저작물

  • 《세계문화사개설》 1964년, 조암출판사
  • 《동양사화》 1966년, 탐구당
  • 《세계사화 전집》 1970년, 동서문화사
  • 《이원군지》 1973년, 함경남도 이원지역의 역사와 문화 단독 편찬
  • 《세계문화사개설》 1974년, 학우사
  • 《세계사화 전집》 1975년, 보경출판사
  • 《세계의 역사 2, 동양편》 1975년, 보경출판사
  • 《이야기 세계역사 전집 1 - 5》 1977년, 서한사
  • 《세계사화 전집》 1977년, 서한사
  • 《이야기 세계역사 전집: 동양편》 1977년, 서한사
  • 《김귀달 컬럼집: 민족, 사관》 1984년, 일신사[7]

논문

  • 《이조불교중흥운동과 그 성격》 1958년, 조선시대 불교 중흥 운동과 그 사회적 함의에 대한 연구
  • 《이조의 명분사상고》 1974년
  • 《마운령 진흥왕순수비의 발견경위에 관한 일고찰》 1979년, 유고 논문[8]
Remove ads

저작물 보관

Thumb

강철종의 주요 저작물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National Library of Korea)과 대한민국 국회도서관(國會圖書館)에 보관되어 있다.[9][10]

문단 활동

  • 전북일보에 500여 회 연재물을 기고했고 동양사와 세계문화사에 관한 단행본을 출판했다.[11]

서훈

가족 관계

  • 부친: 강면하(姜喆鍾)
    • 배우자: 박연희
      • 장남: 강태욱
        • 배우자: 박정순
          • 손자: 강윤식
            • 배우자: 윤아름
          • 손녀: 강윤영
      • 차남: 강태준
      • 딸: 강태이
      • 딸: 강태연[13]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