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QG |
발견일 |
평균 거리 |
크기 |
퀘이사 개수 |
특이사항 |
웹스터 LQG (LQG 1) |
1982 |
z=0.37 |
100 Mpc |
5 |
최초로 발견된 LQG. 발견 당시에 이 LQG는 밝혀진 것 중 가장 거대한 구조였다.[1][5][6] |
크램프턴–카울리–하트윅 LQG (LQG 2, CCH LQG,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10) |
1987 |
z=1.11 |
60 Mpc |
28 |
두번째로 발견된 LQG.[1][5][7] |
클로즈-캄푸사노 LQG (U1.28, CCLQG, LQG 3) |
1991 |
z=1.28 |
&&&&&&&&&&&&&630.&&&&&0
|
34 |
세번째로 발견된 LQG.[5][8] |
|
1995 |
z=1.9 |
120 Mpc/h |
10 |
그라함, 클로즈, 캄푸사노에 의해 발견.[1][7][9] |
|
1995 |
z=0.19 |
60 Mpc/h |
7 |
그라함, 클로즈, 캄푸사노에 의해 발견. 7개의 세이퍼트 은하가 모여 있음.[1][7][9]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1 |
1996 |
z=0.6 |
&&&&&&&&&&&&&&96.&&&&&0R=96 Mpc/h |
12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2 |
1996 |
z=0.6 |
&&&&&&&&&&&&&111.&&&&&0R=111 Mpc/h |
12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3 |
1996 |
z=1.3 |
&&&&&&&&&&&&&123.&&&&&0R=123 Mpc/h |
14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4 |
1996 |
z=1.9 |
&&&&&&&&&&&&&104.&&&&&0R=104 Mpc/h |
14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5 |
1996 |
z=1.7 |
&&&&&&&&&&&&&146.&&&&&0R=146 Mpc/h |
13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6 |
1996 |
z=1.5 |
&&&&&&&&&&&&&&94.&&&&&0R=94 Mpc/h |
10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7 |
1996 |
z=1.9 |
&&&&&&&&&&&&&&92.&&&&&0R=92 Mpc/h |
10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8 |
1996 |
z=2.1 |
&&&&&&&&&&&&&104.&&&&&0R=104 Mpc/h |
12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9 |
1996 |
z=1.9 |
&&&&&&&&&&&&&&66.&&&&&0R=66 Mpc/h |
18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LQG 11 |
1996 |
z=0.7 |
&&&&&&&&&&&&&157.&&&&&0R=157 Mpc/h |
11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콤버그-크라프초프-루카슈 12 |
1996 |
z=1.2 |
&&&&&&&&&&&&&155.&&&&&0R=155 Mpc/h |
14 |
콤버그, 크라프초프, 루카슈에 의해 발견.[1][7] |
뉴먼 LQG (U1.54) |
1998 |
z=1.54 |
150 Mpc/h |
21 |
P.R. 뉴먼 등에 의해 발견. CCLQG의 발견과 함께, 이 구조는 CCLQG와 매우 유사함이 밝혀졌다. 나중에 거시공동 거품과 은하 장성이 발견됨으로써, 이 시대에 이미 시트와 거시공동의 세포 구조가 존재했음을 시사하고 있다.[1][8] |
테슈–엥겔스 LQG |
2000 |
z=0.27 |
140 Mpc/h |
7 |
X-선으로 처음 발견된 LQG.[1] |
U1.11 |
2011 |
z=1.11 |
&&&&&&&&&&&&&780.&&&&&0
|
38 |
[5][8] |
초거대퀘이사군 (U1.27) |
2013 |
z=1.27 |
&&&&&&&&&&&&1240.&&&&&0
- 고유 크기: 500 Mpc
- 최대 크기: 1240 Mpc
|
73 |
나중에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의 발견으로 가려지기 전까지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구조였다.[5][10][1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