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거창고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거창고속(居昌高速)은 경상남도 거창군의 시외·농어촌버스 운행 업체이다. 본사는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 236에 있다.

1980년 설립했으며,[1] 설립 당시의 사명은 거창여객이었고, 2000년 11월 부도 이후[2] 아림고속으로 바뀌었다가 2007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운행 노선

요약
관점

시외버스

시외버스

2024 년 7월 기준이다.[3]

자세한 정보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
거창 출발 노선
  • 거창 (↔안의) ↔ 서울남부터미널(경원여객과 공동 배차)
  • 거창 ↔ 동서울
  • 거창 ↔ (→ 안의 →) 함양 ↔ 수원 ↔ 안산 ↔ 인천[4]
  • (거창 ↔) 가조 ↔ 고령 ↔ 대구 서부 정류장
  • 거창 ↔ 봉산 ↔ 권빈 ↔ 묘산 ↔ 분기 ↔ 쌍림(귀원) ↔ 고령 ↔ 대구 (완행)[5]
  • 거창 ↔동대구↔구미[6]
  • 거창↔가조↔대구 서부 정류장
  • 거창 ↔ 야로 ↔ 가야 ↔ 해인사[7]
  • 거창 ↔ 웅양 ↔ 적하 ↔ 지레 ↔ 대덕 ↔ 김천
  • 거창 ↔ (안의 ↔ 수동 ↔) 함양 ↔ 대전
  • 거창 ↔ (안의 ↔ 수동 ↔) 함양 ↔ 진주 (직통과 완행으로 나뉨)
  • 거창 ↔ 함양 ↔ 인천 ↔ 인천국제공항[8]
  • 거창↔ 김천구미역[9]
함양 출발 노선
  • 함양 ↔ 수동 ↔ 생초 ↔ (양촌 ↔) 산청 ↔ 원지 ↔ 진주[10]
  • 함양 ↔ (수동 ↔ 안의 ↔) 거창 ↔ 김천
  • 함양 ↔ 거창 ↔ 대구
  • 함양 ↔ 수원 ↔ 안산 ↔ 인천
  • 함양 ↔ 대전
  • 함양 ↔ 거창 ↔ 남부터미널
진주 출발 노선
  • 진주 ↔ 마산
  • 진주 ↔ 마산 ↔ 창원(진해)
  • 진주 ↔ 원지 ↔ 산청 ↔ 생초 ↔ 수동 ↔ 함양[11] ↔ 안의[12] ↔ 거창
  • 진주 ↔ 원지 ↔ 단계 ↔ 가회 ↔ 대병
  • 진주 ↔ 사천 ↔ 상리 ↔ 고성
  • 진주 ↔ 개양 ↔ 문산 ↔ 금곡 ↔ 개천 ↔ 마암 ↔ 배둔 ↔ 고성
  • 진주 ↔ 개양 ↔ 문산 ↔ 금곡 ↔ 개천 ↔ 봉치
김천 출발 노선
  • 김천 ↔ 거창 ↔ 함양 ↔ 진주
  • 김천 ↔ 거창 ↔ 진주
  • 김천 ↔ 추풍령 ↔ 황간 ↔ 금강 ↔ 대전
  • 김천 ↔ 대전복합 ↔ 남서울
대구 출발 노선
  • 대구 ↔ 거창 ↔ 함양[13]
  • 대구 ↔ 고령 ↔ 가조 (↔[14] 거창)
  • 대구 ↔ 고령[15] ↔ 분기 ↔ 야로 ↔ 가야 ↔ 해인사
  • 대구 ↔ 고령[16] ↔ 쌍림(귀원) ↔ 분기 ↔ 묘산 ↔ 권빈 ↔ 봉산 ↔(신원 ↔)거창
  • 대구 ↔ 고령[15] ↔ 쌍림(귀원) ↔ 안림 ↔ 쌍책 ↔ 초계
  • 동대구 ↔ 거창[6]
대전 출발 노선
  • 대전 ↔ 함양 ↔ (안의 ↔) 거창
  • 대전 ↔ 금강 ↔ 황간 ↔ 추풍령 ↔ 김천 ↔ 지례 ↔ 대덕 ↔ 적하 ↔ 웅양 ↔ 거창
  • 대전 ↔ 서울남부터미널[17]


구미 출발 노선

구미↔동대구↔거창[6]

시내버스

  • 76번 : 사천터미널 ↔ 중항리(흥사리,가화리)
Remove ads

보유차량

기아
현대자동차

운영에 대한 오해

거창고속이 거창군 가조면위천면을 경유하는 것에 대해 거창군의 농어촌버스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기점이나 종점으로 향할 때 일부 경유하는 경우는 있으나 거창군 내에서 농어촌버스로 운영되고 있지는 않다. 거창고속이 거창군 내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거창 ↔ 가조 ↔ 대구
  • 대구 ↔ 거창 ↔ 수승대(위천)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