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게자리

황도대의 12개 별자리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게자리
Remove ads

게자리(라틴어: Cancer 캉케르[*])는 황도대(黃道帶)의 12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게자리 주위에는 서쪽으로 쌍둥이자리, 동쪽으로 사자자리, 북쪽으로 살쾡이자리, 그리고 남쪽으로 작은개자리바다뱀자리가 위치하고 있다. 4등급 이하의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밝은 쌍둥이자리사자자리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귀수(鬼宿)'라 하며, '귀신'을 의미한다.

간략 정보 약자, 소유격 ...
Remove ads

특징

Thumb
M44 프레세페 성단

겨울철 저녁에 주로 보이는, 눈에 띄지 않는 비교적 작은 별자리이다. 프레세페 성단이 유명하다.

별과 천체

요약
관점

게자리의 항성

· 아쿠벤스(Acubens[1], α Cnc; 게자리 알파): 겉보기 등급 최소 +4.27, 최대 +4.20[2]까지 변화하는 어두운 변광성이다. 게자리 알파 A와 게자리 알파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추정되며 게자리 알파 B의 겉보기 등급은 +11.00이다. 게자리 알파 A의 스펙트럼형은 A7V로 A형 주계열성이다. 약 55 pc 떨어져 있다.

· 타르프(Tarf[1], β Cnc; 게자리 베타): 게자리 베타는 게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겉보기 등급 최소 +3.58, 최대 +3.50[3]에 달한다. 광학적 이중성인 WDS J08165+0911이 존재하며 게자리 베타 b로 명명된, 목성 질량의 약 7.8배로 추정되는 행성을 가지고 있다. 스펙트럼형 K4III의 K형 거성이며 약 93 pc 떨어져 있다.

· 아셀루스 보레알리스(Asellus Borealis[1], γ Cnc; 게자리 감마): 겉보기 등급 +4.652의 어두운 별로 스펙트럼형 A1IV의 A형 준거성이다. 약 54 pc 떨어져 있으며 거리, 나이, 움직임을 토대로 하여 히아데스 성류(Hyades Stream)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 아셀루스 오스트랄리스(Asellus Australis[1], δ Cnc; 게자리 델타): 겉보기 등급 +3.94로 게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다. 스펙트럼형 K0+IIIb의 K형 거성이며 약 42 pc 떨어져 있다.

· 멜레프(Meleph[1], ε Cnc; 게자리 엡실론): 게자리 엡실론은 게자리 엡실론 A와 HD 73711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엡실론 A는 게자리 엡실론 Aa와 Ab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게자리 엡실론 Aa에 멜레프란 명칭이 붙었다. 프레세페 성단에서 가장 밝은 항성이며 겉보기 등급은 거의 한계에 가까운 +6.29이다. 분광형 A5III의 A형 거성이며 약 186 pc 떨어져 있다.

· 테그미네(Tegmine[1], ζ Cnc; 게자리 제타): 게자리 제타는 게자리 제타 A, 게자리 제타 B, 게자리 제타 C로 이루어져 있으며 게자리 제타 C는 Ca, Cb1, Cb2로 나누어진다. 이 중 테그미네는 게자리 제타 A에 해당하는 명칭이다. 게자리 제타 A와 B를 합쳐 제타1성, 게자리 Ca, Cb1, Cb2를 합쳐 제타2성으로 나뉘며 작은 망원경으로 분리해 볼 수 있다. 계 전체는 약 25 pc 떨어져 있으며 A, B, C(Ca, Cb1, Cb2)의 겉보기 등급은 각각 +5.58, +5.99, +6.12이고 스펙트럼형은 각각 F8V, G0V, G0IV-V이다.

· 게자리 아이오타(ι Cnc): 게자리 아이오타 A와 게자리 아이오타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망원경으로 분리해 볼 수 있다. 겉보기 등급은 +4.03이며 게자리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이다. 계는 약 106 pc 떨어져 있으며 게자리 아이오타 A의 스펙트럼형은 G8IIIa, 게자리 아이오타 B의 스펙트럼형은 A2V이다.

· 코페르니쿠스(Copernicus[1], 55 Cnc;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바이어 명명법으로 게자리 로1이다. 이 항성계는 K형 준거성 또는 주계열인 주성(A)과 작은 적색왜성인 B로 구성된 이중성계이다. 이 중 A를 공전하는 5개의 행성 b, c, d, e, f가 있으며 각각 갈릴레오(Galileo), 브라헤(Brahe), 리퍼세이(Lipperhey), 얀센(Janssen), 해리엇(Harriot)으로 명명되었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행성 및 주성의 명칭은 각각의 과학자들(코페르니쿠스(Copernicus, N., 1473~1543),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i, G. B., 1564~1642), 브라헤(Brahe, T., 1546~1601), 리퍼세이(Lipperhey, H., 1570~1619), 얀센(Janseen, Z., 1585?~1632?), 토마스 해리엇(Harriot, T., 1560~1621))을 기리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게자리 55 A의 경우 겉보기 등급이 +5.95이며 약 16 pc 떨어져 있다.

이외의 항성에 대한 설명 및 목록으로는 게자리의 항성 목록 문서를 참고하여라.

어두운 천체들

  • 성단

· 프레세페 성단(Praesepe, M44, NGC 2632): 벌집 성단(Beehive Cluster)으로도 불리는 성단으로 겉보기 등급 +3.70으로 어두운 곳에서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망원경으로 연구한 천체 중 하나로 약 95′의 영역을 차지한다. 약 1000개 정도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11개의 백색왜성이 확인되었고, 성단의 질량은 약 태양의 500~600배이다. 또한 성단 자체를 도는 두 행성 Pr0201 b, Pr0211 b가 관측되었다. 약 187 pc 떨어져 있다.

· 메시에 67(King Cobra Cluster; 킹코브라 성단, M67, NGC 2682): 겉보기 등급 +6.10의 이 성단은 매우 오래된 산개성단으로 약 30여 개의 청색낙오성들을 제외하고는 성단의 구성원들은 모두 같은 나이를 가진다. 약 500개 이상의 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분광형 F 보다 더 푸른 별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질량은 약 태양의 1400배로 추정되며 약 900 pc 떨어져 있다. 또한 1920년과 2001년에 두 초신성이 관측된 바 있다.

  • 은하

· NGC 2608: SB(s)b의 막대나선은하로 1785년 윌리엄 허셜(Herschel, F. W., 1738~1822)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겉보기 등급 +13.01에 18.18 Kpc 정도의 크기로 추정된다. 적색편이 이고 약 28.5 Mpc 떨어져 있다.

· NGC 2623: 상호작용은하로 병합 후기 단계에 있는 SABsd의 은하이다. 합병으로 인해 두 은하 내의 가스 구름이 압축되고 휘저어지면서 별 형성이 급격히 급증했고, 이 활발한 별 형성은 밝은 파란색 점으로 특정된다. 먼지와 가스의 경로를 따라 모여 NGC 2623의 조석꼬리가 형성됨을 볼 수 있다. 핵은 합병으로 인해 매우 밝게 빛나며 이로 인해 이 은하는 세이퍼트은하로도 분류된다. 더불어 조석꼬리에 170여 개의 성단이 모여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 80.91 Mpc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13.36, 적색편이 이다.

· NGC 2775(C48): SAa 또는 SA(r)ab의 은하로 처녀자리 초은하단에 속한 작은 은하군인 NGC 2775 은하군에서 가장 밝은 은하이다. 먼지가 많은 외부 팔 쪽에서 별 생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은하핵 부근은 거의 형성이 없다. 약 24.23 Kpc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약 20.5 Mpc 떨어져 있다. 적색편이 이며 겉보기 등급은 +10.40이다.

Remove ads

신화와 역사

Thumb
게 (Liocarcinus vernalis)
  • 게자리는 영웅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죽은 불쌍한 게의 별자리이다. 신들의 왕 제우스의 아내 헤라제우스의 외도로 태어난 헤라클레스를 미워하여, 그에게 12가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그 중 두 번째가 레르네의 괴물 히드라를 퇴치하는 것이었다. 히드라는 머리가 9개 달린 물뱀으로 머리를 잘라도 곧바로 머리가 새로 생겨나는 좀처럼 죽이기 어려운 괴물이었다. 헤라클레스는 히드라와 30일 동안 싸운 후 불을 이용하여 8개의 머리를 없애는 데 성공했다. 이때 헤라가 히드라를 돕기 위해 게 한마리를 보냈다.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가락을 물었지만, 결국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한쪽 발이 부러진 채 죽고 말았다. 헤라는 자신의 명령을 수행하다 죽은 불쌍한 게에 보답하기 위해 하늘의 별자리가 되게 하였다. 그러나 게자리는 어두운 별로만 되어 있어서 밝은 별들 틈에 끼여 잘보이지 않은 채 지금까지도 쓸쓸하게 남아 있다.
  • 게자리가 '달의 집'인 것은, 달이 세상의 중심인 이 곳에 위치했다는 고대의 믿음에서 기원한다.

점성술

서양 점성술에서의 황도의 게자리(6월 22일 ~ 7월 22일)는 천문학상의 별자리와 인도 점성술의 항성 기준의 게자리(7월 21일 ~ 8월 9일)와는 다르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