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원화엄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원화엄무(일본어: 元和偃武, げんなえんぶ 겐나엔부[*])에서 원화(元和) 1615년 음력 5월 오사카 여름전투에서 에도 막부가 오사카성주 도요토미 히데요리(도요토미 가문)을 공격, 멸문시키고 난 뒤, 오닌의 난(간토 지방에 있어서는 교토쿠의 난) 이래 150년 가까이 단속적으로 이어진 대규모의 군사충돌이 끝났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에도 막부는 같은해 7월 연호를 게이초(慶長)에서 겐나(元和, 원화)로 바꾸고, 천하가 평정되었음을 내외에 선포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1년 12월) |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
엄무(偃武)란 중국의 고전 《서경》 주서=무성편 중에 [王来自商、至于豊.乃偃武修文.(왕래자상, 지우풍 내언무수문: 왕은 상나라에서 돌아와 풍 땅에 다다라 무를 거두고 학문을 닦았다.)]에서 유래하였다. 무기를 거두고 무기고에 넣는 일을 가리킨다.
이 일로 인해서 에도 막부의 전국지배체제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이후 막말에 이를 때까지 시마바라의 난(島原の乱) 등의 잇키를 제외한 대규모의 군사 충돌은 없었다. 이 점을 높이 평가하는 의미로 원화엄무라는 말을 사용했다.
음력 윤6월에 일국일성제(一国一城制)가 시행되었고, 연호를 겐나로 고친 후, 막부는 무가제법도의 제정 등을 통해 지배체제를 강화했다.
![]() |
이 글은 일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