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겨드랑신경
겨드랑이 부위의 신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 또는 액와신경(腋窩神經)은 인체의 신경으로, 겨드랑이 높이의 팔신경얼기(위줄기, 뒤갈래, 뒤다발을 거침)에서 시작되어 C5와 C6의 신경 성분을 운반한다.[1][2][3] 겨드랑신경은 뒤위팔휘돌이동맥, 정맥과 함께 네모공간을 통과하여 어깨세모근과 ,부리위팔근 ,작은원근에 분포한다.
Remove ads
구조
팔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온 후 처음에는 겨드랑동맥 뒤쪽[4]과 어깨밑근 앞쪽에 놓여 있고,[1] 어깨밑근의 아래쪽 경계를 따라 주행한다.
그 후 위팔뼈의 목 주변을 뒤위팔휘돌이동맥과 함께 앞에서 뒤로 감고 돈다.[2] 이때 네모공간(위쪽 경계는 작은원근, 아래쪽 경계는 큰원근, 안쪽 경계는 위팔세갈래근 긴갈래, 가쪽 경계는 위팔뼈의 외과목)을 통과하며[1] 앞가지, 뒤가지,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로 가는 곁가지로 나뉘게 된다.
- 앞가지(anterior branch, upper branch)는 위팔뼈 외과목 주변을 감고 돈다.[5] 이때 뒤위팔휘돌이동맥, 정맥과 어깨세모근 아래로 주행한다. 그 후 운동신경으로 분포하는 어깨세모근 앞쪽 경계를 따라간다. 또한 앞가지는 약간의 작은 피부신경 가지를 내며, 이 가지들은 어깨세모근을 관통하여 근육을 덮는 피부에 분포한다.
- 뒤가지(posterior branch, lower branch)는 어깨세모근 뒤쪽 부분과 작은원근에 분포한다.[2] 뒤가지는 깊은근막을 관통하여 어깨세모근 뒤쪽 경계를 따라가는 위가쪽위팔피부신경으로 계속된다. 위가쪽위팔피부신경은 어깨세모근 아래쪽 2/3와 위팔세갈래근 긴갈래를 덮는 피부를 지배한다.
- 위팔세갈래근 긴갈래의 운동신경 가지가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져 나온다. 갈라져 나오는 지점은 평균적으로 뒤다발이 끝나는 곳에서 6mm(범위는 2~12mm) 떨어진 지점이다.[6]
- 겨드랑신경의 줄기는 어깨밑근 아래쪽에서 어깨관절로 들어가는 관절 신경섬유를 낸다.
변이
전통적으로 겨드랑신경은 어깨세모근과 작은원근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카데바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들은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를 지배한다는 점을 지적한다.[7][6][8]
Remove ads
기능
겨드랑신경은 팔에서 어깨세모근(어깨의 근육)과 작은원근(돌림근띠 근육 중 하나)을 지배한다.
또한 어깨관절에서 감각 정보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어깨세모근 아래쪽 부위를 덮는 피부에도 분포한다.[9] 피부신경 지배는 겨드랑신경의 가지인 위가쪽위팔피부신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임상적 중요성
어깨 탈구가 앞쪽, 아래쪽으로 발생하면 겨드랑이 부위가 목발로 눌리거나 위팔뼈 외과목이 골절되며 겨드랑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 겨드랑신경이 손상되는 예시로는 겨드랑신경 마비가 있다. 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추가 이미지
- 각 척수신경 성분이 색깔별로 표시된 팔신경얼기의 모식도.
- 오른쪽 어깨위신경과 겨드랑신경을 뒤에서 본 그림.
- 오른쪽 상지의 피부신경.
- 오른쪽 상지의 피부신경이 분포하는 부위를 나타낸 도표.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
- 겨드랑신경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