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견문각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견문각지
Remove ads

견문각지(見聞覺知, 산스크리트어: dṛṣṭa-śruta-mata-jñāta, dṛṣṭa-śruta-mata-vijñāta)는 (見) · (聞) · (覺) · (知)가 합쳐진 것으로, 보고 · 듣고 · 깨닫고 · 아는 것을 총칭하는 낱말이다.[1][2][3]

(見) · (聞) · (覺)은 전5식마음작용에 해당하고, (知)는 제6의식과 이 보다 더 심층의 (識)들의 마음작용에 해당한다. 따라서, 견문각지(見聞覺知)는 마음[心] 즉 6식 또는 8식이 객관세계를 접촉하는 것을 총칭한다. 즉 마음의 모든 인식활동 또는 인식기능을 통칭하는 낱말이다.[1][2]

한편, 일반적인 의미에서, 견문각지가 많다는 것은 경험이 풍부하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4]

Remove ads

일반적인 해석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해석에 따르면, (見) · (聞) · (覺) · (知)의 각각은 다음을 뜻한다.[1][2] 이 해석은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주요 논서 가운데 하나인 《대비바사론》 제121권에 나타난 견해와 일치한다.[3]

따라서 (見) · (聞) · (覺) · (知) 가운데 (見) · (聞) · (覺)은 전5식과 관련된 마음작용을 말하고, (知)는 제6의식 또는 그 보다 더 심층의 제7말나식 또는 제8아뢰야식과 관련된 의식작용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말하자면, 견문각지(見聞覺知)는 마음[心] 즉 6식 또는 8식이 외경(外境) 즉 객관세계를 접촉하는 것을 총칭한다.[1][2]

Remove ads

잡집론의 해석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 가운데 하나인 안혜의 《잡집론》에 따르면 견문각지(見聞覺知)의 해석은 일반적인 해석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잡집론》에 따르면 (見) · (聞) · (覺) · (知)의 각각은 다음을 뜻한다.[5][6]

먼저, '견문각지(見聞覺知)하여 파악한 의미[義]'라는 낱말이 사용되는데, 《잡집론》에 따르면, 이것은 견의(見義) · 문의(聞義) · 각의(覺義) · 지의(知義)를 통칭하는 낱말이다.[5][6]

  • 견의(見義): 보아서 파악한 의미라는 뜻으로, 안근으로 보고 받아들인 것[眼所受]을 말한다.
  • 문의(聞義): 들어서 파악한 의미라는 뜻으로, 이근로 들어서 받아들인 것[耳所受]을 말한다.
  • 각의(覺義): (覺) 즉 (尋)으로 파악한 의미라는 뜻으로, 견의문의에 응하여 자연히 저절로 생각[思]이 구성[搆]되어 파악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尋)의 마음작용이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思)와 상응하여 저절로 대강 그린[搆] 것을 말한다.
  • 지의(知義)는 (知) 즉 (伺)로 파악한 의미라는 뜻으로, 자신의 내부에서 받아들인 것[自內所受]을 말한다. 예를 들어, (伺)의 마음작용이 '보고 듣고 저절로 대강 그려진 것'을 (思) 또는 (慧)와 상응하여 적으로 의식적으로 '세밀하게 살펴서 파악한 것 또는 그린 것'을 말한다.
Remove ads

견문각지와 상(想)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무착의 《집론》과 안혜의 《잡집론》에 따르면, (想, 표상작용)의 마음작용5온 가운데 상온(想蘊)에 해당하는데, 구료상(搆了相) 즉 요별을 구성하는 성질을 본질적 성질[相]로 하는 마음작용이다.[7][8][5][6]

집론》과 《잡집론》에 따르면, (想)의 마음작용이 있기 때문에 유정은 갖가지 의 상류(像類) 즉 모양과 유형을 구성하여 그려낼[搆畫] 수 있으며, 견문각지(見聞覺知)하여 파악한 의미[義]에 따라 갖가지 언설(言說) 즉 설명하는 을 일으킬 수 있다. 즉 언어는 견문각지에 의해 파악된 의미[義]를 바탕으로 일어나는 (想) 즉 표상작용개념들을 바탕으로 생겨난다.[7][8][5][6]

참고 문헌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