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금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금속(輕金屬)은 비중이 4 또는 5 이하인 금속을 말한다.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등이 그 대표격이다. 항공기와 각종 기구에 널리 이용되는 알루미늄의 원광석은 보크사이트로, 세계에 비교적 널리 분포해 있다.[1]

수소 헬륨
리튬 베릴륨 붕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네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염소 아르곤
칼륨 칼슘 스칸듐 타이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갈륨 저마늄 비소 셀레늄 브로민 크립톤
루비듐 스트론튬 이트륨 지르코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테크네튬 루테늄 로듐 팔라듐 카드뮴 인듐 주석 안티모니 텔루륨 아이오딘 제논
세슘 바륨 란타넘 세륨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 유로퓸 가돌리늄 터븀 디스프로슘 홀뮴 어븀 툴륨 이터븀 루테튬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레늄 오스뮴 이리듐 백금 수은 탈륨 비스무트 폴로늄 아스타틴 라돈
프랑슘 라듐 악티늄 토륨 프로트악티늄 우라늄 넵투늄 플루토늄 아메리슘 퀴륨 버클륨 캘리포늄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귬 보륨 하슘 마이트너륨 다름슈타튬 뢴트게늄 코페르니슘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리버모륨 테네신 오가네손
Remove ads

개요

대표적인 경금속은 알루미늄(비중 2.7), 마그네슘(비중 1.7), 베릴륨(비중 1.9), 타이타늄(비중 4.5), 알칼리 금속[2](비중 0.5~1.9), 알칼리 토금속[3](비중 1.5~3.6) 등을 들수 있다. (비중 7.9)과 구리(비중 8.9)는 경금속에는 들어 가지 않는다.

제련이 기술적으로 어려웠기 때문 인류가 경금속을 다루는 것은 17~18세기 무렵 부터이다. 또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 것은 19세기 이후이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전기 분해 제련 공정은 1886년 프랑스의 폴 에루와 미국의 찰스 마틴 홀이 가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다. 타이타늄은 1946년 윌리엄 저스틴 크롤이 개발한 크롤법에 의해 처음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1903년 발명된 항공기의 발달은 경금속 없이는 있을 수 없었다. 최근에는 철도, 승용차 등을 포함한 운송 장비의 경량화를 위해 사용되지만, 그 양은 철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다. 예를 들어, 2003년 선철 생산량은 5억 톤이지만, 상대적으로 생산량이 많은 경금속인 알루미늄은 2500만톤, 마그네슘은 50만 톤에 머문다.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