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기감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기감영(京畿監營)은 조선시대의 8개 도(道) 가운데 하나인 경기도의 행정, 사법을 담당하던 관찰사가 근무하던 곳이다. 현재의 도청(道廳) 소재지 및 도청 건물에 해당한다.

역사
1413년(태종 13년)에 경기도가 설치되면서 처음에는 관청을 수원(水原)에 두었으며, 곧 광주(廣州)로 이전되었다가 1460년(세조 6년) 무렵에 한성부로 이전되었다.[1] 병자호란으로 청사가 소실되었으며, 1641년(인조 19년)에 재건되었다.
감영 건물
경기감영에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같은 건물이 있었다.
- 선화당(宣化堂) : 종2품 관찰사의 업무 공간
- 관풍각(觀風閣) : 관찰사의 업무 공간
- 내아(內衙) : 관찰사 가족의 생활 공간
- 도사청(都事廳) : 종5품 도사의 업무 공간
- 영리청(營吏廳) : 감영에서 일하는 아전의 업무 공간
- 포정문(布政門) : 감영 정문[2]
감영 인근 시설
감영 건물 활용
1895년(고종 32년)에 23부제, 1896년(고종 33년)에 13도제가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감영 제도가 폐지되고 관찰부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경기관찰부가 수원 화성행궁으로 이전하였다.[4] 기존의 경기감영 자리에는 한성부 청사, 대한제국 군대 군영 등이 들어섰으며, 일제강점기 시기인 1914년부터 1928년까지는 고양군청, 고양경찰서, 서대문경찰서 등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적십자사 조선본부 건물, 적십자병원 등으로 활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선화당을 비롯한 건물이 모두 철거되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