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기대명고등학교
대한민국의 공립고등학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기대명고등학교(京畿大明高等學校)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에 위치한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이다.
Remove ads
학교 연혁
- 2002년 1월 14일 : 경기대명고등학교 설립 인가
- 2002년 3월 1일 : 경기도교육청 자율학교 지정
- 2002년 3월 14일 : 초대 도재헌 교장 취임
- 2002년 3월 25일 : 제1회 입학식(입학생 17명)
- 2010년 3월 1일 : 경기대명고 부설 대안교육 장기위탁과정(경기 한울학교) 개설
- 2015년 3월 1일 : 경기도교육청 자율학교 지정(2015. 03. 01. ~ 2020. 02. 29.)
- 2023년 3월 1일 : 제10대 박찬웅 교장 취임
- 2024년 1월 8일 : 제20회 졸업식 19명(졸업생 총원 576명)
- 2024년 3월 4일 : 제23회 입학식(20명)
- 2025년 3월 4일 : 제24회 입학식
학교 특징 및 생활
- 2025년 기준, 경기대명고등학교는 1학년에 2개 반, 2학년에 2개 반, 3학년에 3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교복 착용 의무가 없기 때문에, 학생들은 일상복이나 간편한 복장으로 자유롭게 등교할 수 있다.
- 현장체험학습은 1학년 1학기에 순천, 2학기에 속초로, 2학년 1학기에 경주, 2학기에 제주도로 3박 4일간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며, 3학년은 별도로 진행하지 않는다.
- 스마트폰 제출과 관련한 별도의 규정이나 단속이 없으며, 학생들은 자유롭게 휴대 및 소지를 허용받는다.
- 학교 운동장 크기가 매우 작아서 학생들이 운동장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특이하게 학교에 당구장과 노래방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업 중 교사 허가 하에 이용 가능하다.
- 학교차원에서 등교 시간에 아침머꼬라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아침 식사를 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아침 식사를 지원한다.
- 기존 농구장을 철거하고 체육관을 신축 중이며, 2025년 11월 중순 완공될 예정이다.
- 학교 규정상 학생들의 연애를 지양하며, 과도한 애정 행각은 징계 사유로 선도 처리될 수 있다.
- 경기대명고 주변 상권은 매우 열악한 편이다. 학교 주변은 대부분 논과 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문을 나서서 조금만 걸어가면 시내 중심에 편의점과 카페가 위치해 있다.
- 학급당 인원 수가 15명 이하로, 학습 공간이 여유롭고 쾌적하다.
- 2025년 5월, 교실 내 모든 의자와 책상을 신형으로 교체하였다.
- 학교 내에 연못이 있으며, 연못 주변에는 벤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선생님들과 학생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된다.
- 학교 뒤에 산이 있어서 가끔 다양한 곤충들이 학교 안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말벌이나 쌍쌍벌이 복도 안으로 날아 들어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 다른 고등학교에 비해 학교 규모가 작고, 인원수도 적어서 소문이 매우 빠르게 퍼지는 편이다.
- 예전에는 중국, 일본으로 현장체험학습을 가기도 했으나, 코로나19 이후로는 시행되지 않고 있다.
- 학교 특성상 일반 인문계나 과학고에 비해 학업 경쟁이 덜한 편이라 내신을 따기 비교적 쉬운 편이다.
- 학교 연못에 금붕어, 올챙이, 미꾸라지가 서식하고 있다.
Remove ads
논란 및 사건사고
- 현장체험학습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학생들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한다. 특히 현장체험학습이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자율 선택이 아닌, 학교 차원에서의 참여 권장 또는 사실상 강제되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는 점이 주요 불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건강상의 이유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현장체험학습 참여가 힘든 학생들에게는 심리적·물리적 부담감이 크다는 지적도 있다. 자율성과 개인의 상황을 매우 중시하는 대안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 방향성과 충돌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학생들 간 갈등이나 건강상 문제 등으로 인한 현장체험학습 참여의 부작용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현장체험학습의 참여 여부를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해보인다. 현장체험학습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동일한 장소를 개별적으로 방문한 후,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여 학교 차원에서 과제로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운영 방식에 대해 학부모들은 과도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 학생들은 현장체험학습 활동보다는 학교 내부 시설의 개선에 보다 많은 예산이 투입되기를 바라고 있다. 특히 교내 자판기 및 매점이 없어 간식 및 음료 구매에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노후한 당구대와 휴게 공간, 그리고 냉난방기 등 기초 시설의 보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외부 링크
- 경기대명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