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기체가
고려 중엽 이후 사대부들에게 불린 시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기체가(景幾體歌)는 고려 중엽 이후 사대부들에게 불린 시가(詩歌)로서,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라고도 한다.
경기체가는 한문을 사용하되 고유의 전통을 살려서(부분적으로 이두 표기를 사용-모든 작품이 이두표기를 쓰는 것은 아님-) 이루어진 새로운 형식의 시가이다.
창작 주체
경기체가는 고려 후기 무신들과 권문 세족에 억눌려 있던 신진 사대부 계층이 창작한 운문 장르로, 이들은 새 왕조를 개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조선 전기의 훈구파로 이어진다.
경기체가의 소멸
경기체가는 조선 전기 가장 크게 유행하였다가, 점점 쇠락하여 조선 중종 대 즈음 등장하는 가사문학과 그 세를 달리하게 된다. 경기체가 최후의 작품은 이이의 제자인 권호문이 지은 독락팔곡으로 가사문학의 4음보율이 나타는 등 그 형태를 거의 잃게 된다.
대표 작품
무인 정권 시대의 〈한림별곡〉이 시초이다. 여기에는 최씨 무인 정권 밑에서 새로이 정치적으로 등장하는 사대부들의 의기에 찬 생활이 화려하게 그려져 있다. 그 뒤 안축(安軸)의 〈관동별곡〉(關東別曲) 등 사대부 출신의 득의연한 풍모가 잘 풍겨나는 작품이 나타나게 되었다.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한림별곡〉, 〈죽계별곡〉, 〈관동별곡〉, 〈독락팔곡〉 등이 있다.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