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산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산군(慶山郡)은 경상북도 경산시의 이전 행정 구역으로, 1995년 경산시에 통합되어 도농복합도시가 되었다.[1] 옥산(玉山)은 경산의 별호이다.
《대동여지도》
역사
- 삼한시대 압량국(押粱國) = 압독국(押督國)이 있었다.
- 신라시대 압량주(押粱州)를 설치하고 군주(軍主)를 두었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장산군(獐山郡)으로 칭하고, 양주(良州, 현 양산시)에 속했다. 이때 해안현(解顔縣), 여량현(餘糧縣), 자인현(慈仁縣)을 영현으로 두었다.
- 940년(고려 태조 23년) 장산현(章山縣)으로 강등되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현 경주시)의 속현이 되었다.
- 1172년(고려 명종 2년)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였다.
- 1310년(고려 충선왕 2년) 경산현(慶山縣)으로 개칭하였다.
- 1317년(고려 충숙왕 4년) 국사 일연의 고향이라 현령을 두었다.
-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경산군으로 승격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 1395년(조선 태조 3년) 경산현으로 강등되고, 현령을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경산군(慶山郡)으로 개편되었다.[2]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경산군으로 개편되었다.[3]
- 1914년 4월 1일 신녕군 남면, 자인군, 하양군을 경산군으로 통폐합하였다.[4][5] (11면)
도령 제2호
- 1956년 7월 8일 경산면을 경산읍으로 승격하였다.[6] (1읍 10면)
- 1966년 7월 1일 용성면에 육동출장소를 설치하였다.[7]
- 1973년 7월 1일 안심면을 안심읍으로, 하양면을 하양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8] (3읍 8면)
- 1981년 7월 1일 안심읍, 고산면을 대구직할시에 편입하였다.[9] (2읍 7면)
법률 제3424호
대통령령 제12007호
Remove ads
행정 구역
- 1914년의 행정구역[13]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