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성고등보통학교 (경성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경성고등보통학교 (경성군)
Remove ads

경성고등보통학교(鏡城高等普通學校)는 함경북도 경성군에 위치한 학교이다.

Thumb

함북의 명문 경성고보(鏡城高普)

1922년 3월 31일 조선총독부 칙령 제151호에 의거 서울과 수원에 5개의 전문학교와 각 도에 고등보통학교 설립을 공고하면서 함경북도에는 구한말 관찰 청(도청)이 있던 경성에 제11 관립으로 고등보통학교 설립 예정지로 정하고 정원 100명으로 인가시켰다.

  • 1922년 3월 31일 관립으로 경성고등보통학교 교명을 지정
  • 1922년 4월 28일 105명(지원자 461명)이 첫 입학, 교사는 구한말 관찰청 건물을 사용하다가 2년 후 본관 2층이 완공 그 후 강당, 실험실, 도서관, 특별교실, 기숙사, 교사사택 준공
  • 1926년 1월 13일 관립에서 공립이 되면서 경성공립고등보통학교로 변경
  • 1927년 8월 5일 경성고보 동창회 발족, 역대 교장 중 1명이 당연직 회장을 맡고 김하경(1회졸업)이 광복까지 부회장 겸 실무담당
  • 1929년 9월 23일 제1회 경성제국대학 예과 주최, 조선 중등부 전국 축구대회에서 첫 우승
  • 1929년 12월 광주학생 운동을 알리는 전단 살포사건 발생
  • 1930년 1월 15일 광주학생 연계, 전교생 5백여 명이 1차 항일 시위 감행
  • 1930년 1월 17일 하학 시를 붉은 푯말 기를 들고 연행, 학생들 석방을 요구하며 2차 항일 시위를 감행하며 대부분 학생이 구속됨
  • 1930년 3월 8일 항일 투쟁에 가담한 학생을 퇴학시키자 3학년 학생이 주축이 되어 동맹휴학 단행
  • 1930년 3월 12일 항일 사건 가담자 중 주모학생 11명 청진지방법원에서 8개월~1년 징역형 선고, 학교 측 징계로 시위 참가자 300여명 퇴학 처분
  • 1931년~33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주최, 조선 중등부 전국 축구대회에서 3연패 우승
  • 1938년 4월 1일 경성고등보통학교가 경성중학교로 교명 변경, 일제 강점기 조선어 폐지
  • 1939년 4월 교내에서 조선어 사용금지, 일본식 성명 강요, 황국신민화 교육 시행
  • 1944년 4월 1일 학제 5년에서 4년으로 단축
  •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황철산(1회 졸업) 교장 취임
  • 1948년 4월 경성고급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되면서 이후 학제 개편과 남녀공학 수성고급중학교로 개칭
  • 2014년 초순 모교 자리에 경성의학전문학교를 개교 (탈북자 제보) 8·15 광복 후 24회가 마지막 졸업생이다.
Remove ads

학교 동문

  • 김규동 - 전 시인
  • 김 철 - 민주사회당
  • 김연준 - 한양대 설립자, 총장 및 이사장
  • 김입삼 - 전 전경련 상근 부회장
  • 김구남 - 전 제주지방법원장
  • 황부길 - 전 4대 해무청장 및 한국해양대학교 6대 총장
  • 박시인 - 전 서울대 인문대학 영문학 교수
  • 안현진 - 전 산부인과 병원장
  • 조요한 - 전 숭실대 총장
  • 신동훈 - 전 서울대 의과대학장
  • 신상옥 - 전 영화감독
  • 이창룡 - 전 건국대 국문학과 교수
  • 박송배 - 전 KAIST 교수
  • 마경석 - 전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 진승록 - 전 초대 고시위원장
  • 주완철 - 전 성균관대 교수
  • 장경석 - 전 육군 소장
  • 박석련 - 전 한양대부속병원 원장
  • 윤상송 - 전 한국해양대학교 9대 총장
  • 남 철 - 전 주 아르헨티나 대사
  • 김우근 - 전 외환은행 은행장
  • 김용권 - 전 서강대 문과대학 학장
  • 조철화 - 전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