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주월드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테마파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주월드(영어: Gyeongju World)는 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에 위치한 테마파크이다. 1985년 5월 2일 도투락월드로 개장했으며 1991년 10월부로 경주월드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 테마파크의 옆에 위치한 워터파크는 캘리포니아비치로 지난 2008년 6월에 개장한 워터파크이다.
30여개의 놀이기구를 운영하고 있는 테마파크 '경주월드 어뮤즈먼트'와 워터파크 '캘리포니아 비치', 눈썰매장 '스노우파크'로 이루어져 있다.
연혁
- 1985년 5월 2일: 도투락월드로 개장
- 1986년 3월 2일~2022년 8월: 서라벌관람차 운영 및 2023년 11월 9일 철거
- 1987년 3월~2014년 7월: 서라벌청소년수련원 운영 및 8월 철거
- 1989년 4월 1일: 레스토랑 개점
- 1991년 1월 3일~2016년 2월: 스페이스 2000 운영 및 폐장
- 1991년 3월 15일: 급류타기 개장
- 1991년 7월 1일~2023년 7월 30일: 비룡열차 운영 및 8월 5일 철거
- 1991년 10월 2일: 경주월드로 명칭 변경[주 1]
- 1994년 12월 3일: 눈썰매장 개장
- 1996년 12월 1일: 스키썰매장 개장
- 2001년 2월 5일: 그랜드캐년 대탐험 개장
- 2001년 4월 3일: 엑스존 개장
- 2001년 9월 5일: 토네이도 개장
- 2003년 2월 2일~2025년 5월 1일: 메가드롭 운영 및 폐장
- 2006년 10월 1일~2015년 8월: 스페이스 투어 운영 및 폐장
- 2007년 3월 1일: 가족열차 개장
- 2007년 5월 5일: 파에톤 개장
- 2008년 6월 1일: 워터파크 부분인 캘리포니아비치 개장
- 2010년 5월 1일: 위자드가든 개장
- 2011년 7월 2일: 캘리포니아 비치의 더블익스트림 개장
- 2012년 6월: 섬머린 스플래쉬 개장
- 2012년 11월 13일: 눈썰매장 개장
- 2014년 4월 30일: 킹바이킹 개장
- 2015년 5월 4일: 바자지구 리모델링 마치고 개장
- 2016년 5월 3일: 에어벌룬, 바운스 스핀 개장
- 2016년 12월 2일: 스노우파크 개장
- 2017년 4월 29일: 드래곤 레이스 개장
- 2017년 11월 30일: 댄싱컵 개장
- 2017년 12월 23일: 크라크 개장
- 2018년 5월 1일: 드라켄, 드라켄 밸리 개장
- 2020년 3월 1일: 슬로프와 눈마을 개장
- 2021년 10월 9일: 발키리 개장
- 2023년 11월 4일: 매직바이크 개장
- 2024년 10월 9일: 위자드 레이스 개장
- 2024년 11월 10일: 미로탐험 폐장
- 2024년 11월 30일: 스콜 & 하티 개장
- 2025년 1월 10일: 카니발게임장 오픈
- 2025년 6월 28일: 신규 놀이기구 타임 라이더 개장
Remove ads
경주월드 어뮤즈먼트
요약
관점
1985년 5월 2일에 개장한 테마파크로, 다양한 테마 구역이 존재한다.
X-Zone
강한 스릴의 놀이기구들이 모여 있는 구역이다.
파에톤
- 국내 유일의 인버티드 롤러코스터. 그리스 신화 이야기 중 파에톤을 테마로 하며, 그에 맞게 승물, 시설 진입통로, 승강장들이 사실적으로 꾸며져 있다.
- 4명이 나란히 앉아 총 32명이 탈 수 있다. 신장 제한은 145cm.
토네이도
- 프리스비 기종으로 좌우 약 115도 각도를 왕복하며, 승물의 회전이 추가되어 강한 스릴이 만들어진다. 145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24명.
그랜드캐니언 대탐험
- 리버 래피드 기종으로 물결을 타고 출렁거리며 스릴을 즐길 수 있다. 120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8명.
드라켄밸리
2018년 5월 1일 개장한 대규모 테마 구역. 북유럽 신화를 테마로 하며, '아스가르드', '미드가르드', '니플헤임' 3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있다. 총 투자 금액이 400억원에 달한다. 면적은 80,000km.[1]
아스가르드
드라켄밸리의 초입에 위치하며, 북유럽 신화를 배경으로 한 '신들의 세계'란 테마를 가지고 있는 구역이다.
발키리
미드가르드
겨울 마법에 걸려 눈이 쌓인 '인간 세계'란 테마를 가지고 있는 구역이다.
크라크
드래곤레이스
- 구조물이 회전목마처럼 돌아감과 동시에 승물이 360도 회전을 하여 강한 스릴을 만들어낸다.
- 경주월드 공식 홈페이지 설명에 의하면 '바람의 보물'이 숨겨진 곳이란 설정을 가지고 있다.
- 120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24명.
- 2017년 4월 29일 '나 혼자 산다'에 출연된 적이 있다.[2]
또한 눈썰매장인 '스노우파크'가 위치하고 있다. 스노우파크는 '물의 보물'이 숨겨진 곳으로 설정되어 있다. 눈썰매는 플라스틱형 썰매와 튜브 썰매가 비치되어 있다. 스노우파크의 시설은 아래와 같다.
바나헤임
- 전용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는 긴 썰매장이다. 연장 250m.
요툰헤임
- 성인 썰매장이다. 연장 130m.
알프헤임
- 어린이 썰매장이다. 연장 70m.
플리트비체
- 플리트비체는 눈 마을이란 뜻으로, 눈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니플헤임
신화 속의 악의 신들이 다스리던 '지하의 세계'란 테마를 가지고 있는 구역이다.
드라켄
스콜앤하티
위자드가든
마법사 테마의 키즈존이다. 8개의 놀이 시설, 소무대, 애니매트로닉스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기의 캐로셀
- 100cm 신장 제한[주 3]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8명이다.
부기의 문라이트세일
- 120cm 신장 제한[주 4]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40명이다.
스와니의 클라우드라이드
- 120cm 신장 제한[주 2]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0명이다.
드롤의 위자드트레인
- 80~120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14명이다.
스파키의 매직카
- 80~120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45명이다.
위자드 레이스
- 패밀리 코스터이다. 105cm 신장 제한[주 5]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20명이다.
트리키리키의 볼하우스
- 공을 가지고 놀 수 있는 실내 놀이시설이다. 105~130cm 신장 제한[주 6]이 있으며, 탑승(입장) 가능 인원은 최대 60명이다.
스페이스 시티
우주 테마 구역이다.
범퍼카
- 125cm 신장 제한[주 7]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0명이다.
패밀리 어트랙션
킹 바이킹
- 120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60명이다.
패밀리 바이킹
- 110cm 신장 제한[주 2]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3명이다.
에어벌룬
- 110cm 신장 제한[주 3]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2명이다.
바운스스핀
- 110cm 신장 제한[주 3]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24명이다.
급류타기
- 110cm 신장 제한[주 2]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4명이다.
가족열차
- 110cm 신장 제한[주 3]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6명이다.
섬머린 스플래쉬
- 130cm 신장 제한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20명이다.
댄싱컵
- 120cm 신장 제한[주 4]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36명이다.
매직바이크
- 120cm 신장 제한[주 4]이 있으며, 탑승 인원은 20명이다.
Remove ads
캘리포니아 비치
어드벤쳐
- 산타모니카비치
- 웨이브캐년
- 페블비치
- 스플래쉬 어드벤쳐
- 레저풀
익스트림
- 섬머린 스플래쉬
- 더블익스트림
- 엑스
- 와이프아웃
- 터보트위스트
- 트리플다운1
- 트리플다운2
- 트리플다운3
과거에 존재했던 어트랙션
스페이스2000
- 2016년 운행이 종료된 스틸 롤러코스터. 120cm 신장 제한이 존재했으며, 탑승 인원은 24명이었다.
문어댄스
- 110cm 신장 제한이 존재했으며, 탑승 인원은 30명이었다.
슈퍼스윙
- 130cm 신장 제한이 존재했으며, 탑승 인원은 48명이었다.
타가디스코
- 150cm 신장 제한이 존재했으며, 탑승 인원은 40명이었다.
고스트하우스
- 귀신의 집. 100cm 신장 제한이 존재했다.
서라벌관람차
비룡열차
미로탐험
글린다의 매직펌킨
메가드롭
Remove ads
관련 시설
서라벌청소년수련원
1985년 5월 2일에 청소년 캠프 시설인 유스호스텔 서라벌청소년수련원을 개장했으나 2014년 7월 노후로 인해 철거, 현재는 새로운 공원 시설이 확장된 상태다.
입장객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입장객 수가 크게 증가하며 호황을 누렸다.
1990년대 중후반 대구에 우방타워랜드(現 이월드)가 문을 열면서, 에버랜드와 롯데월드 등 수도권 대형 테마파크와의 경쟁에서 점차 열세를 보이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 점차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2018년에는 드라켄의 도입으로 입장객 수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방송 출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