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주최씨 충렬공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주최씨(慶州崔氏) 충렬공(忠烈公): 최광위(崔光位) - 신라 문창후(文昌侯) 고운(孤雲) 시조(始祖)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5세(來孫)로 二, 三, 四世는 알 수 없다.
공(公) 휘(諱)는 광위(光位)요 초휘(初諱)는 광훈(光勳)이며 자는 사격(四格)이고 호는 청량헌(淸涼軒)이며 시호(諡號)는 충렬(忠烈)이시다. 공은 문종 1051년(文宗辛卯)에 출생하였다.
고려조에 섬 지방 오랑케를 토평한 공으로 광위라는 사명을 받았다. 고려 때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으로 봉군 되었고 상장군벽상(上將軍 壁上) 삼한삼중대왕(三澣三重大匡) 내사령(內使令)을 역임하시다. 갑오(甲午, 1114)년 수(壽 )64세로 졸(卒)하시다.
배위는 두 분이시다. 용궁(龍宮) 전씨(全氏) 하만(可萬) 여식이며, 정부인(貞夫人) 이시다. 또한 경주(慶州)이씨(李氏) 명정(明正) 여식이며, 역시 정부인(貞夫人)이시다. 상장군: 고려 때 각 군영 으뜸 장수 정3품으로 2군 6위에 1명씩 두었다.
아들 최종포(崔宗浦)님은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졌다. 손자 최일(崔逸)님은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냈고, 증손 최재연(崔再延)님은 평리(平理)를 역임하였으며, 7세 최안립(崔安立, 七世)님은 벼슬이 낭장(郎將)에 이르렀다. 진한 신라 고려시대까지 조상님들은 벼슬을 지내셨지만,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들어서자 최로崔潞(八世)님께서는 정포은(鄭圃隱), 이목은(李牧隱)을 따르며, 벼슬을 하지 않고 학문만 연마했다.
•忠烈公諱光位 分派 충렬공휘광위 분파
五世 石琪 – 瓊琪(正郞公派) 정랑공휘경기(正郞公諱瓊琪 正五品)
┃
六世 英烈
┃
七世 安立
┃
八世 濂(贊成公派) – 潞 – 瀞(生員公派) 생원공휘정(生員公諱瀞)
_______________┃
┃潞子
九世 孟濟(承旨公派) - 仲濟(縣監公派) - 季濟(監司公派)
찬성공휘렴(贊成公諱濂 從一品)
승지공휘맹제(承旨公諱孟濟 正三品)
현감공휘중제(縣監公諱仲濟 從六品)
감사공휘계제(監司公諱季濟 從二品)
u慶州崔氏 文昌候 五世 忠烈公諱光位 後孫 系派圖 경주최씨 문창후 5세 충렬공휘광위 후손 계파도
十 | 潞 | 八 | ||||||||||||||||||||||||||||||
二 | 로 | 世 | ||||||||||||||||||||||||||||||
世 | ┃ | |||||||||||||||||||||||||||||||
十 | 孟 | 맹 | 仲 | 중 | ━ | ━ | ━ | ━ | ━ | ━ | ━ | ━ | ━ | 季 | 계 | 九 | ||||||||||||||||
三 | 濟 | 제 | 濟 | 제 | 감 | 監 | 濟 | 제 | 世 | |||||||||||||||||||||||
世 | ┃ | ┃ | 사 | 司 | ┃ | |||||||||||||||||||||||||||
十 | 寅 | 인 | 永 | 영 | ━ | ━ | ? | 永 | 영 | 永 | 영 | 공 | 公 | 汲 | ━ | ━ | 永 | 영 | ━ | 啓 | 계 | ━ | ━ | ━ | 漢 | 한 | ━ | 可 | 가 | 十 | ||
四 | 源 | 원 | 源 | 원 | 生 | 생 | 潤 | 윤 | 휘 | 諱 | 급 | 生 | 생 | 順 | 순 | 京 | 경 | 佑 | 우 | 源 | 원 | 世 | ||||||||||
世 | ┃ | ┃ | ┃ | ┃ | 계 | 季 | ┃ | ┃ | ┃ | 畿 | 기 | ┃ | ┃ | |||||||||||||||||||
十 | 淸 | 청 | 雲 | 운 | 亨 | 형 | 득 | 得 | 以 | 이 | 제 | 濟 | 景 | 경 | 僉 | 得 | 득 | 光 | 광 | 道 | 도 | 九 | 구 | 月 | 澤 | 택 | 十 | |||||
五 | 漢 | 한 | 漢 | 한 | 漢 | 안 | 한 | 漢 | 江 | 강 | 파 | 派 | 好 | 호 | 知 | 漢 | 한 | 魯 | 로 | 廣 | 광 | 叙 | 서 | 坡 | 漢 | 한 | 一 | |||||
世 | ┃ | ┃ | ┃ | ┃ | ┃ | ┃ | 公 | ┃ | ┃ | 州 | 주 | ┃ | 公 | ┃ | 世 | |||||||||||||||||
十 | 敏 | 민 | 君 | 순 | 彦 | 언 | 려 | 麗 | 謙 | 善 | 선 | 貫 | 諱 | 麗 | 려 | 孟 | 맹 | 西 | 서 | 仁 | 諱 | 震 | 진 | 十 | ||||||||
六 | 沁 | 심 | 㴽 | 설 | 漴 | 충 | 설 | 㴽 | 겸 | 山 | 산 | 관 | 得 | 㴽 | 설 | 喜 | 희 | 面 | 면 | 인 | 澤 | 喅 | 육 | 二 | ||||||||
世 | ┃ | ┃ | ┃ | ┃ | ┃ | 郡 | 군 | ┃ | 漢 | ┃ | ┃ | 靑 | 청 | ┃ | 漢 | ┃ | 世 | |||||||||||||||
十 | 貞 | 정 | 大 | 대 | 松 | 송 | 천 | 天 | 여 | 汝 | 玉 | 옥 | 淑 | 派 | 天 | 천 | 兢 | 긍 | 陽 | 양 | 嶪 | 派 | 璹 | 十 | ||||||||
七 | 胤 | 윤 | 胤 | 윤 | 年 | 년 | 보 | 寶 | 석 | 碩 | 城 | 성 | 숙 | 첨 | 寶 | 보 | 租 | 조 | 靑 | 청 | 업 | 월 | 숙 | 三 | ||||||||
世 | ┃ | ┃ | ┃ | ┃ | 面 | 면 | ┃ | 지 | ┃ | ┃ | 南 | 남 | ┃ | 파 | ┃ | 世 | ||||||||||||||||
十 | 壽 | 수 | 宗 | 종 | 滌 | 湜 | 종 | 宗 | 九 | 구 | 仁 | 인 | 공 | 宗 | 종 | 然 | 연 | 中 | 중 | 承 | 승 | 공 | 棟 | 十 | ||||||||
八 | 成 | 성 | 秀 | 수 | 척 | 식 | 악 | 岳 | 鳳 | 봉 | 敏 | 민 | 휘 | 唐 | 당 | 宇 | 우 | 山 | 산 | 元 | 원 | 휘 | 동 | 四 | ||||||||
世 | ┃ | ┃ | ┃ | ┃ | ┃ | 득 | ┃ | ┃ | 택 | ┃ | 世 | |||||||||||||||||||||
十 | 尙 | 상 | 忠 | 충 | 恆 | 元 | 貞 | ? | 鳳 | 德 | 덕 | 時 | 시 | 한 | 鳳 | 봉 | ━ | ━ | ━ | ━ | 덕 | 德 | 永 | 영 | 한 | 斗 | 두 | 十 | ||||
九 | 鎭 | 진 | 國 | 국 | 吉 | 吉 | 吉 | 吉 | 吉 | 길 | 益 | 익 | 파 | 吉 | 길 | 길 | 吉 | 鳳 | 봉 | 파 | 吉 | 길 | 五 | |||||||||
世 | ┃ | ┃ | 항 | 원 | 정 | 봉 | ┃ | ┃ | ┃ | ┃ | ┃ | ┃ | 世 | |||||||||||||||||||
二 | 承 | 승 | 縣 | 현 | 길 | 길 | 길 | 길 | 巍 | 宜 | 의 | 崇 | 숭 | 대 | 大 | 三 | 삼 | 화 | 華 | 泰 | 태 | 十 | ||||||||||
十 | 旨 | 지 | 監 | 감 | 외 | 寧 | 령 | 崑 | 곤 | 곤 | 崑 | 陟 | 척 | 곤 | 崑 | 崑 | 곤 | 六 | ||||||||||||||
世 | 公 | 공 | 公 | 공 | ┃ | 宮 | 궁 | ┃ | ┃ | 蔚 | 울 | ┃ | 世 | |||||||||||||||||||
廿 | 諱 | 휘 | 諱 | 휘 | 碩 | 석 | 柳 | 류 | 碩 | 석 | 석 | 碩 | 珍 | 진 | 昌 | 창 | 十 | |||||||||||||||
一 | 孟 | 맹 | 仲 | 중 | 立 | 립 | 洛 | 낙 | 立 | 립 | 모 | 慕 | 北 | 북 | 彦 | 언 | 七 | |||||||||||||||
世 | 濟 | 제 | 濟 | 제 | ┃ | 西 | 서 | ┃ | ┃ | 面 | 면 | ┃ | 世 | |||||||||||||||||||
廿 | 派 | 파 | 派 | 파 | ○ | ○ | ━ | ○ | ○ | 陜 | 합 | 世 | 세 | 세 | 世 | ━ | 世 | 세 | 羅 | 나 | 十 | |||||||||||
二 | ┃ | ┃ | 세 | 世 | 信 | 신 | 川 | 천 | 允 | 윤 | 백 | 百 | 信 | 신 | 州 | 주 | 八 | |||||||||||||||
世 | 靑 | 청 | 光 | 광 | ┃ | ┃ | 三 | 삼 | ┃ | ┃ | ┃ | 細 | 세 | 世 | ||||||||||||||||||
廿 | 陽 | 양 | 州 | 주 | 경 | 慶 | 慶 | 경 | 嘉 | 가 | 慶 | 경 | 경 | 慶 | 慶 | 경 | 枝 | 지 | 十 | |||||||||||||
三 | 內 | 내 | 南 | 남 | ○ | ○ | 緯 | 위 | 益 | 익 | 직 | 直 | 緯 | 위 | 東 | 동 | 九 | |||||||||||||||
世 | 里 | 리 | 區 | 구 | ┃ | ┃ | ┃ | ┃ | ┃ | 倉 | 창 | 世 | ||||||||||||||||||||
廿 | 大 | 대 | 光 | 광 | 종 | 宗 | ○ | 宗 | 종 | ○ | 宗 | 종 | 宗 | 종 | ━ | 宗 | 종 | 종 | 宗 | 宗 | 宗 | 종 | 宗 | 종 | 宗 | 종 | 二 | |||||
四 | 峙 | 치 | 山 | 산 | 백 | 伯 | ○ | ○ | ○ | ○ | 再 | 재 | 俱 | 구 | 厚 | 후 | 재 | 才 | 同 | 秀 | 수 | 垕 | 후 | 麗 | 려 | 十 | ||||||
世 | 光 | 광 | 大 | 대 | ┃ | ┃ | ┃ | ┃ | ┃ | ┃ | ┃ | 종 | ┃ | ┃ | ┃ | 世 | ||||||||||||||||
廿 | 大 | 대 | 村 | 촌 | 載 | 泰 | 輝 | 吉 | 華 | 甲 | 得 | 弼 | 彦 | 觀 | 國 | 石 | 載 | 동 | 萬 | 殷 | 溫 | 順 | 列 | 光 | 廿 | |||||||
五 | 化 | 화 | 良 | 양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之 | 一 | ||||||||
世 | 城 | 성 | 苽 | 과 | 재 | 태 | 휘 | 길 | 화 | 갑 | 득 | 필 | 언 | 관 | 국 | 석 | 재 | 만 | 은 | 온 | 순 | 열 | 광 | 世 | ||||||||
農 | 농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지 | ||||||||||||
岩 | 암 | 光 | 州 | 柳 | 德 | 洞 | 佛 | 公 | 五 | 浪 | 松 | 汀 | 道 | 湖 | 新 | 村 | ||||||||||||||||
광 | 주 | 유 | 덕 | 동 | 불 | 공 | 오 | 랑 | 송 | 정 | 도 | 호 | 신 | 촌 |
1903년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님이 엮은 경주최씨족보(慶州崔氏族譜, 甲辰譜)는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님과 충렬공(忠烈公) 휘광위파(諱光位派) 원조(遠祖) 1세(一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에서부터 9세(九世) 감사공(監司公) 휘계제(諱季濟)님에 이어 10세(十世) 휘영생(諱永生)님, 아들 11세(十一世) 첨지공(僉知公) 휘득한(諱得漢)에서부터 15세(十五世) 휘덕길(諱德吉)님을 이어 후손(後孫)들로 입보(入譜)한 최고보(最古譜)다.
1917년 경주최씨세보(慶州崔氏世譜, 從吾亭 丁巳譜)에는 득성조(得姓祖) 소벌도리(蘇伐都利),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님부터 10세(十世)에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 그리고 후손(後孫)들로 18세에 감사공(監司公) 휘계제(諱季濟)님까지 입보(入譜)해 있으나 휘영생(諱永生)님 이후 후손은 보(譜)에 보이지 않는다.
1927년 경주최씨대동보(慶州崔氏大同譜, 西岳書院 丁卯譜)에는 득성조(得姓祖) 소벌도리(蘇伐都利),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문창후(文昌侯) 5세손(五世孫) 충렬공(忠烈公) 휘광위파(諱光位派) 5세(五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부터 13세(十三世) 현감공(縣監公) 휘중제(諱仲濟)님에 이어 14세(十四世) 휘영원(諱永源), 15세(十五世) 영사정(永思停) 휘형한(諱亨漢), 16세(十六世) 휘언충(諱彦漴), 17세(十七世) 휘송년(諱松年), 그리고 18세(十八世) 휘식(諱湜)님을 이어 19세(十九世) 자래현(字來賢) 휘덕길(諱德吉)님이 아드님[子] 20세(二十世) 자준연(字俊然) 휘외(諱巍) 그리고 후손(後孫)들로 입보(入譜)해 있다.
1928년 경주최씨충렬공파족보(慶州崔氏忠烈公派族譜, 戊辰譜)는 득성조(得姓祖) 소벌공(蘇伐公),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1세(一世) 원조(遠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에서부터 9세(九世) 감사공(監司公) 휘계제(諱季濟)님에 이어 10세(十世) 휘영생(諱永生)님, 아들로 11세(十一世) 첨지공(僉知公) 휘득한(諱得漢)에서부터 15세(十五世) 휘덕길(諱德吉)님을 이어 후손(後孫)들로 정확도가 높게 입보(入譜)한 최고보(最古譜)로 보인다.
1932년 경주최씨대동보(慶州崔氏大同譜, 斗谷講堂 壬申譜)에는 득성조(得姓祖) 소벌도리(蘇伐都利),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님부터 9세(九世)에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에 이어 15세(十五世) 휘안립(諱安立)님까지 한 갈래, 그리고 5세(五世)에 중조(中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 그리고 후손(後孫)들이 두 갈래로 입보(入譜)해 있다.
1969년 경주최씨대동보(慶州崔氏大同譜, 上書莊 己酉譜)에는 9세(九世)에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에서부터 17세(十七世) 현감공 (縣監公) 휘중제(諱仲濟)님을 이어 둘째[仲] 아들로 18세(十八世) 휘영생(諱永生) 그리고 19세(十九世) 첨지공(僉知公) 휘득한(諱得漢), 20세(二十世) 자명서(字明瑞) 휘려설(諱麗㴽)님을 이어 21세(二十一世) 현감공(縣監公) 휘천보(諱天寶)님까지 입보(入譜)해 있다.
1981년 경주최씨충렬공파족보(慶州崔氏忠烈公派族譜, 芝山齋 辛酉譜)에는 9세(九世)에 중조(中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에서부터 17세(十七世) 감사공(監司公) 휘계제(諱季濟)님에 이어 18세(十八世) 휘영생(諱永生)님, 아들로 19세(十九世) 첨지공(僉知公) 휘득한(諱得漢)님에서부터 23세(二十三世) 자명세(字鳴世) 휘덕길(諱德吉)님을 이어 가장 많은 후손(後孫)들로 입보(入譜)해 있다.
1988년 경주최씨충렬공파족보(慶州崔氏忠烈公派族譜, 戊子譜)는 득성조(得姓祖) 소벌공(蘇伐公),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1세(一世) 원조(遠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에서부터 9세(九世) 감사공(監司公) 휘계제(諱季濟)님에 이어 10세(十世) 휘영생(諱永生)님, 아들로 11세(十一世) 첨지공(僉知公) 휘득한(諱得漢)님까지 입보(入譜)해 있다.
2022년 경주최씨대동보(慶州崔氏大同譜, 壬寅 大同譜) 수단(收單) 입보(入譜) 때, 세계(世系)는 1903년 경주최씨족보(慶州崔氏族譜, 甲辰譜)와 1928년 경주최씨충렬공파족보(慶州崔氏忠烈公派族譜, 戊辰譜)를 따르고, 세대(世代)는 1927년 경주최씨대동보(慶州崔氏大同譜, 西岳譜)를 따르기로 하였다. 따라서 보(譜)에 따라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 원조(遠祖) 1세(一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 또는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 은함(殷含) – 승로(承老) – 숙(肅) – 제안(齊顔) – 문훈(文勳) – 연(漣) – 사형(士亨) – 9세(九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을 이어왔던 후손(後孫)은 세대(世代)를 모두 4세(四世)씩 올리거나 내려 시조(始祖)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 ○ ○ - ○ ○ - ○ ○ - 5세(五世) 충렬공(忠烈公) 휘광위(諱光位)님을 이어서 입보(入譜)해 있다.
文昌候문창후 崔致遠최치원 始祖시조께서 於 東文選동문선에 남긴 家訓가훈 原文원문을 "願言扃利門不使損遺體원언경리문 불사손유체" "바라건대 이욕 문을 막아, 부모께 받은 몸 상하게 하지 말라" "몸과 맘을 잘 가꾸자" 등으로 써도 물려준 본 뜻이 담긴다.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