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계룡산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계룡산통은 두만강침강대지역에서 나타는 두만계층의 하나로, 페름기상세층이다.

라진-선봉지구에서의 계룡산통

요약
관점

라진-선봉지구는 두만강침강대 남동부의 해안선을 따라 몰리운 융기대구역이다. 라진 선봉지구에서 두만계층은 두만강암군과 단천암군관입암체의 관입으로 깎이다 남은 모양으로 군데군데 남아있으며 두만계 하부층인 암기통과 계룡산통만 조금 남아있다.

라진-선봉지구의 계룡산통은 부거천유역의 라진 락산동의 로세동부근에 21 km2정도의 면적으로 드러나있다.

이 지구에서의 계룡산통 암석에는 견운모녹니석편암, 견운모규질편암, 녹니석규질편암, 흑운모규질편암, 천매암질편암, 분사암, 석회암의 낌층과 그 사이에 끼여있는 함력양기석, 녹염석, 녹니석, 규질편암, 녹니석녹염석양기석편암이 들어있다.

이 지구에서 계룡산통은 암기통 우에 정합으로 놓여있다. 웃한계는 두만강암군 관입암체에 의해 뚫려 잘 알 수 없다. 여기서 계룡산통의 두께는 369 ~ 645 m이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에 있는 흑색천매암과 편암안에 끼이는 회색석회암(두께 1 ~ 10 ㎝)애 산호류와 해백합 조각이 들어있다.

부거리로부터 북서방향으로 1.5 ㎞ 떨어진 곳에서의 자름면은 아래로부터 우로 가면서 다음과 같다(암기통분사암우에서부터)

  1.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질규질편암...1 m
  2. 암회색견운모규질편암...23 m
  3.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질규질편암...1 m
  4. 녹회색녹니석규질편암...12 m
  5. 회록색 견운모녹니석편암(이 안에 두께가 5 ㎝인 흑운모규질편암이 자주 끼인다)...11 m
  6.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이 안에 두께가 5 ~ 10 ㎝인 견운모녹니석편암이 자주 끼인다)...20 m
  7. 암회색흑운모규질편암...10 m
  8. 암회색견운모규질편암...2 m
  9.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4 m
  10. 담회색견운모규질편암과 녹회색규질편암이 엇바뀌는 층(녹회색규질편암은 우로 올라가면서 많아짐)...12 m
  11.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6 m
  12. 녹회색녹니석규질편암...22 m
  13.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4 m
  14.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4 m
  15.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2 m
  16.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26 m
  17.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3 m
  18. 회록색견운모녹니석편암...22 m
  19.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4 m
  20.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37 m
  21. 암회색천매암질편암(이 안에 두께가 1 ~ 10 ㎝인 회색석회암이 자주 끼인다)...35 m
  22. 회흑색견운모녹니석편암...8 m
  23. 암회색천매암질편암(아래부분에 두께가 1 ~ 10 ㎝인 흑운모규질편암, 석회암이 끼인다. 석회암 안에 산호가 들어있다)...16 m
  24. 녹회색분사암...50 m
  25.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2 m
  26.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13 m
  27.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2 m
  28. 회록색견운모녹니석편암...42 m
  29.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1 m
  30.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19 m
  31. 녹회색견운모녹니석편암(이 안에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이 자주 끼인다)...231 m

층의 전체 두께는 645 m이다.

락산지구의 로세동부근에서 자름면은 아래로부터 우로 가면서 다음과 같다.

-암기통의 분사암우에-

  1. 녹니석녹염석양기석편암(웃부분은 각암화되였으며 두께가 0.5 ~ 1 m인 견운모규질편암이 끼인다)...25 m
  2. 녹회색분사암과 회녹색견운모녹니석이 엇바뀌는 층(이 층 밑에서부터 1 ~ 2 m 우로 올라가면서 점차 얇아진다)...22 m
  3. 규질편암...2 m
  4. 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질규질편암...18 m
  5.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102 m
  6. 회녹색견운모녹니석편암(함력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이 끼인다)...200 m

층의 전체 두께는 369 m이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은 규질편암류, 견운모녹니석편암, 천매암질편암, 분사암으로 되여있으며 웃부분은 비교적 균질한 견운모녹니석편암으로 되여있다. 아래부분의 천매암질편암에는 회색석회암이 1 ~ 10 ㎝ 두께로 자주 끼인다. 락산지구의 로세동부근의 아래부분에서는 층이 얇아지며(67 m) 그 안에 있는 천매암질편암에는 두께가 0.5 ~ 0.8 m인 석회암층이 3개가 있다. 또한 분출퇴적기원의 변성암력이 들어있는 양기석녹염석녹니석규질편암, 녹염석양기석규질편암, 녹니석녹염석양기석질편암의 낌층이 자주 끼인다. 낌층의 두께는 보통 1 ~ 5 m, 드물게 25 m이다, 이 암석들에 들어있는 역의 양과 조성은 잇달림상에서 다르다. 역은 석회암, 점판암, 규질편암, 규암, 드물게 변질된 화강암과 분출암으로 되여있다. 구성암석은 편리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렌즈모양을 이룬다. 역질편암은 주로 부거지구 암기동 부근에서 잘 잇달린다. 그 크기는 1 ~ 5 ㎝, 또는 20 ㎝ 안팎인 것도 있다. 이 지구에서 계룡산통은 두망간암군 화강암에 의하여 뚫리였기 때문에 두께가 상이하다.

Remove ads

청진지구에서의 계룡산통

요약
관점

청진지구는 수성천단열대의 동쪽인 청진단열지괴의 남쪽부분에 해당하는 구역이 속한다. 청진지구의 두만계층은 서수라지구로부터 금바위를 거쳐 청진시 청암구역 교원리 증산지구에까지 널려있다.

이 지구에서 두만계층은 암기통과 계룡산통으로 나눈다.

청진지구 계룡산통은 서하동향사, 황만동향사, 계룡산향사, 산로산향사에 놓인다. 계룡산통의 아래부분은 암기통 우에 정합으로 놓이며 웃한계는 화강암에 의해 끊기였거나 단층에 의하여 잘리여 가를수 없다. 이 지구의 암석은 안산암, 영안암, 안산분암과 그 응회암 및 녹색암이다. 지층들은 북서로 잇달리면서 북동쪽으로 40 ~ 80˚비탈졌다. 이 지구에서 계룡산통의 두께는 1200 m 정도 된다.

계룡산북쪽 산비탈면에서 자름면은 아래로부터 우로 가면서 다음과 같다.

  1. 녹니석편암...9.8 m
  2. 응회질녹색암(영안암질)...3.8 m
  3. 녹니석편암...12.5 m
  4. 응회질녹색암...2.9 m
  5. 흑색점판암...0.1 m
  6. 석회암(해백합화석 있음)...3 m
  7. 녹니석편암...1.9 m
  8. 회녹색점토질녹니석편암...10.1 m
  9. 응회직녹니석편암(영안암질)...0.87 m
  10. 회록색점판암...79 m
  11. 녹색암(규질물이 1 ~ 2 ㎝ 두께로 여러개 끼인다)...3.3 m
  12. 분사질흑색점판암...4.4 m
  13. 응회질녹색암...20 m
  14. 세립사질과 점토질물이 세층으로 엇바뀌는 층...2.7 m
  15. 분사질녹니석편암...5.7 m
  16. 흑색점판암...5.7 m
  17. 녹색점판암...1.9 m
  18. 잡사암과 점판암이 엇봐끼는 층...1.7 m
  19. 회록색점판암...4 m
  20. 응회암...50 m
  21. 녹색암...81 m
  22. 석영각반암이 얇게 끼인 녹니석편암...1.7m
  23. 응회질녹색암...71 m
  24. 응회암...11.4 m
  25. 녹색암...12.4 m
  26. 녹니석편암...83 m
  27. 응회암...69 m
  28. 녹색점판암...31 m
  29. 응회암...71 m
  30. 응회질녹색암...338 m

층의 전체 두께는 1042.87 m이다.

교동서쪽 산비탈면에서의 자름면은 아래로부터 우로 가면서 다음과 같다.

  1. 잡사암...22 m
  2. 녹니석편암...11.7 m
  3. 영안암질응회암...9.3 m
  4. 소력질응회암...4.9 m
  5. 점판암...1 m
  6. 역질응회암...4.9 m
  7. 응회질녹색암...80 m
  8. 안산암질응회암...72 m
  9. 역질응회암...51 m
  10. 녹니석편암...15 m
  11. 안산분암...34.3 m
  12. 흑색점판암...6.4 m
  13. 영안암질응회암...19 m
  14. 응회암과 녹색암이 서로 엇봐끼는 층...14.7 m
  15. 규질점판암...4.5 m
  16. 안산분암...20 m
  17. 역질응회암과 잡사암...9.5 m
  18. 점토분과 응회질이 서로 얇게 엇바뀌는 층...2.6 m
  19. 역질응회암...10.1 m
  20. 흑색점판암...1.8 m
  21. 잡사압(점판암의 얇은 층이 끼인다)...14. 2 m
  22. 잡사압...5 m
  23. 흑색점판암...26 m
  24. 안산분암...27 m
  25. 응회질잡사암...23 m
  26. 안산분암...9.8 m
  27. 녹니석편암...27 m
  28. 잡사암...2.9 m
  29. 안산분암...61 m
  30. 안산암...28 m
  31. 역질응회암...0.6 m
  32. 안산분암...3.7 m
  33. 녹색암...117 m
  34. 안산분암...87 m
  35. 녹색암과 안산분암이 서로 엇바뀌는 층...41 m
  36. 안산분암...15.4 m
  37. 녹색암...72.4 m
  38. 역질응회암...7.1 m

층의 전체 두께는 932.8 m이다.

이 지구 계룡산통은 증산지구에서 서남쪽 장생지구로 가면서 층은 심하게 밀리였으므로 그곳에서는 편리가 잘 나타난다. 통의 아래부분에서는 석회암과 점판암이 1 ~ 5 m 두께로 2 ~ 3개 정도 들어있는 역질응회암이 끼이며 안산암, 영안암, 안산분암, 녹색암이 많아진다. 달림방향에서 매개암석들은 서로 엇바뀌고 자주 끊어지며 암상변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층 안에 낌층으로 들어있는 점판암이나 석회암도 잇달림이 좋지 못하다. 이 낌층들은 암기통의 분출암과 계룡산통의 분출암을 가르는 시준층으로 되고있다. 이 통의 석회암 안에는 해백합화석이 들어있다.

Remove ads

유선지구에서의 계룡산통

고건원-장태지구에서의 계룡산통

종성-회령지구에서의 계룡산통

가라지봉지구의 계룡산통

관모융기대지역의 두만계층은 단천암군 관입암체와 단층에 의하여 뚫리였거나 잘리여 관모지구, 고무산지구, 가라지봉지구에 작은 규모의 쐐기모양으로 드러나있다. 이 중 가라지봉지구에 계룡산통이 드러나 있는데 북동방향으로 좁고 긴 띠 모양으로 무산군 강선로동자구로부터 가라지봉을 지나 회령군 룡천리 소구내골까지의 20여 ㎞ 길이로 잇달리낟. 이 지층은 부윤단열지괴의 무산융기구와 남대천요함구계선을 따라 주로 요함구에 치우쳐 나타난다. 면적은 약 15 km2이다. 이전에는 무산층군의 일부로 생각되였으나 축척 1:5만 조사에서 이 층을 계룡산통으로 하였다.

계룡산통의 시대와 성인 고찰

두만계는 강한 습곡작용과 분출작용 또는 암상작용이 격렬하게 진행되던 상부고생대초의 석탄기말에서부터 페름기말까지의 시기에 생긴 것으로 인정된다. 두만계는 해저에서 형성된 쇄설퇴적암과 염기성-중산성분출암 및 그의 응회암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페름기에 들어서면서 침강구역으로 변하면서 그곳에서는 강한 구조운동과 함께 분출·관입활동이 보다 활발히 진행되였다. 이 시기에는 분지가 비교적 온화한 해양과 연결되여있었다. 이는 인도양,태평양의 해서동물군과 고지중해에서 볼 수 있는 방추충, 완족류 및 관성해조류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계룡산통은 암기동골짜기와 금월동 그리고 다른 지역의 석회암에서 여러 가지 완족류, 해백함, 태선류, 방추충, 유공충, 방산충 등 동물화석이 나오기 때문에 페름기상세로 그 시대가 결정되였다.

계룡산통에 대해서는 청진암군과 함께 묶어 오피오라이트의 웃층으로 얹혀있는 저탁암과 분출암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Remove ads

참고 문헌

  • 류종락 외. 조선지질구성 (2). 공업출판사, 1990
  • 림동수, 양정혁. 청진지구 계룡산통의 몇가지 오피오라이트적 특성에 대하여, 지질 및 지리과학. 2000, no 2. p11-13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