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령 관음사 아미타여래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고령 관음사 아미타여래도
Remove ads

고령 관음사 아미타여래도(高靈 觀音寺 阿彌陀如來圖)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관음사에 있는 불화이다. 2019년 3월 25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672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개요

이 아미타여래도는 1908년(隆熙 2)에 금어(金魚)인 원일(圓日)과 진규(眞珪)에 의해 제작된 화면 109.8×157.3cm 크기의 불화이다. 중앙의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하단에는 유희좌 형식의 보살 4위, 상단에는 시립한 가섭과 아난, 4위의 보살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불화의 구도와 보살의 유희좌, 채색 및 인물의 표현 기법 등에서 19세기 사불산화파 및 기전(琪銓), 전기(典琪) 등에 의해 제작된 경상도 일대의 전통불화의 특징이 간취된다.[1]

화기(畵記)를 통해 제작시기와 제작자, 봉안처를 명확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9세기 범어사, 해인사 및 동화사 등 경상도 일대에서 제작되었던 전통불화의 구도와 도상 및 양식적 특징을 계승한 작품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므로 문화재자료로 지정한다.[1]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