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리명 |
마을유래 |
자연마을 |
비고 |
장문리(長文里) |
본래 고부군(古阜郡) 동부면(東部面) 구역인데, 행정구역 개편 때에, 청룡리(靑龍里), 음지리(陰地里), 등전리(嶝田里), 양지리(陽地里), 월천리(月川里), 장문리(長文里), 허문리(許門里)와 남부면(南部面) 남복리(南輻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장문리라 하고, 정읍군 영원면(永元面)에 편입시켰다가 뒤에 다시 고부면에 편입하였다. |
1) 장문(長文) 마을 2) 양지(陽池) 마을 3) 음지(陰池) 마을 |
|
고부리(古阜里) |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평리(上坪里), 하평리(下坪里), 남산리(南山里), 외남리(外南里)와 동부면(東部面) 허문리(許門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원래 고부군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기에, 고부라 하고 고부면에 편입 되었다. 고부의 내력을 보면, 마한(馬韓)시대에 고비리국(古卑離國)으로 추정되는 지역이고, 백제(百濟)때에는 중방고사성(中方古沙城)이 있던 곳으로, 그때는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으로 그 고을 터가 지금 영원면 은선리(隱仙里)이다. 삼국(三國)이 통일된 신라 경덕왕(景德王)16년에야 고부(古阜)라 부르게 되었다. 고려(高麗)시대에는 태조(太祖) 19년에 고을을 영주(瀛州)로 부르고 관찰사(觀察使)를 두었고, 그 고을 터는 지금의 입석리(立石里)였으며, 그 뒤 951년인 광종(光宗) 2년에는 안남(安南)이라고 이름을 바꾸었으며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를 두었다. 1019년인 현종(顯宗) 10년에 고부군(古阜郡)의 치소(治所)를 지금의 고부리인 성황산(城隍山)으로 옮겼다. 조선(朝鮮)시대에는 1765년인 영조(英祖)41년에 고을 터를, 다시 고부리(古阜里)인 고부초등학교 자리로 옮기게 되었다. |
1) 고부(古阜) 마을 2) 교동(校洞) 마을 3) 남산(南山) 마을 |
|
남복리(南福里) |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인데 영광리(永光里), 남정리(南丁里), 허문리(許門里), 남복리(南福里)각 일부를 합병하여 이곳 중심마을 이름을 따 남복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 |
1) 남복(南福) 마을 2) 남영(南靈) 마을 |
|
입석리(立石里) |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신장리(新場里), 성촌(星村), 입석리(立石里), 진장리(鎭將里), 만화리(萬化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입석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되었다. |
1) 입석(立石) 마을 2) 예천(禮川) 마을 3) 성촌(星村) 마을 |
|
만수리(萬壽里) |
본래 고부군 소정면(所井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만리(上萬里), 하만리(下萬里), 주안리(舟安里), 서당리(書堂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상하만수동(上下萬壽洞)의 이름을 따, 정읍군 소성면에 편입 되었다가 뒤에 고부면으로 다시 편입하였다. |
1) 상만(上萬) 마을 2) 하만(下萬) 마을 3) 서당(書堂) 마을 |
|
덕안리(德安里) |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구역인데, 행정구역 개편 때, 덕안리(德安里), 안영리(安永里), 진선리(鎭仙里), 육선리(六仙里), 회동(會洞), 진장리(鎭將里), 입석리(立石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덕안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 하였다. |
1) 진선(鎭仙) 마을 2) 덕안(德安) 마을 3) 안영(安寧) 마을 |
|
신중리(新中里) |
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죽교리(竹橋里), 주산리(舟山里), 강고리(江古里)와 남부면(南部面), 구중리(九中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신중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 시켰다. |
1) 구중(舊中) 마을 2) 신중(新中) 마을 3) 주산(舟山) 마을 |
|
만화리(萬化里) |
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토정리(土井里), 분토리(分土里), 신화리(新化里), 만화리(萬化里), 신중리(新中里)와 서부면(西部面) 신고리(新古里)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만화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 하였다. |
1) 만화(萬化) 마을 2) 신정(新井) 마을 |
|
용흥리(龍興里) |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해항리(亥項里), 학항리(鶴項里), 탑동(塔洞), 신용리(新龍里), 앵등리(鶯嶝里), 남흥리(南興里), 운흥리(雲興里)와 동부면(東部面) 발입리(發立里)일부를 병합하여 신용과 남흥을 약칭하여 용흥리라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 |
1) 해정(亥頂) 마을 2) 학정(鶴頂) 마을 3) 용흥(龍興) 마을 4) 신용1(新龍 1) 마을 5) 신용2 (新龍 2) 마을 |
|
관청리(官淸里) |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관청이(官淸里), 작산리(鵲山里), 기동(基洞), 신기리(新基里), 송정리(松亭里)일부와 서부면(西部面) 청용리(靑龍里), 송정리(松亭里), 구고리(舊古里)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관청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 하였다. |
1) 청용(靑龍) 마을 2) 칠정(七井) 마을 3) 앵곡(鶯谷) 마을 4) 송곡(松谷) 마을 5) 관청(官淸) 마을 6) 작산(鵲山) 마을 |
|
신흥리(新興里) |
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용회리(龍回里), 파산리(琶山里), 도산리(道山里), 홍원리(洪元里)와 남부면(南部面) 소정리(소停里), 서흥리(西興里)와 부안군 입상면(立上面) 영수리(榮水里)및 건선리(乾先里), 율지리(栗池里)각 일부를 병합하여, 고부 관청히 서쪽에 새로 일어난 마을이어서 신흥이라 하고, 고부면에 편입하였다. |
1) 신흥(新興) 마을 2) 홍원(洪元) 마을 3) 용회(龍回) 마을 |
|
강고리(江古里) |
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용등리(龍登里), 강고리(江古里), 종암리(種岩里), 마정리(馬頂里)와 남부면(南部面) 신중리(新中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의 이름을 따서 강고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 하였다. |
1) 용등(龍登) 마을 2) 마정(馬頂) 마을 3)강고(江古) 마을 4) 종암(鐘岩) 마을 |
|
백운리(白雲里) |
본래 고부면 서부면(서부면) 구역인데, 개편 때 백운리(白雲里), 구용리(九龍里), 용수리(龍水里), 반용리(盤龍里), 노승리(老僧里), 용출리(龍出里), 초하리(草下里), 서용리(西龍里), 화산리(化山里), 중리(中里)와 성포면(聲浦面) 금동리(琴洞里) 및 흥덕군(興德郡) 일동면(一東面) 양래리(良來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마을 이름을 따서 백운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 |
1)용수(龍水) 마을 2) 백운(白雲) 마을 3)운용(雲龍) 마을 4)죽리(竹里) 마을 5) 반용(盤龍) 마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