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부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부면(古阜面)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이다. 면적은 40.02km2이고, 인구는 2024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2,632명이다.

간략 정보 고부면 古阜面, 로마자 표기 ...

고부는 마한시대 고비리국, 백제때는 고사부리군이었는데 백제가 망하고 잠시 고사주라 했다가 경덕왕16년(757년) 고을 이름을 고부로 바꾸었다. 고려 태조19년(918년) 영주라 하고 관찰사를 두었다가 광종 2년(951년)에는 안남도호부로 바꾸었다가 현종 10년(1019년) 다시 고부군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영조 41년(1765년) 치소 고을터만 현 고부초등학교 자리로 옮겨 지내다가 1894년 조병갑 군수의 비정으로 고부농민 봉기의 효시가 되었으며 한일합방 후, 동학혁명의 발상지로 민심집결이 두려워 왜정은 의도적으로 3개군에 분산흡수시키고 군을 면으로 축소 개편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의 발원지로서 성지와 불적 등 다수의 문화재가 산재하고 있는 유서깊은 고을이며 고부농공단지가 위치하여 지역경제의 원동력이 잠재된 지역이다.

곰소만(또는 줄포만)에서 백운리간 거리는 불과 가장 가까운 거리가 약 4여㎞정도로, 이에 정읍시는 동해안의 함경남도 고원군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처럼 바다를 접하지 않은 시군단위 지역 중에서는 최단거리로 바다와 가장 가깝다.

Remove ads

연혁

  • 마한시대 고비리국
  • 백제시대 고사부리군(오방성중의 하나인 중방고사성)
  • 통일신라시대 고부
  • 고려시대 영주관찰사 -> 안남도호부 -> 고부군
  • 조선시대 고부군
  • 일제시대(1914.3.1) 정읍군 고부면
  • 1995. 1. 1. 정읍시 고부면

문화재 및 관광자원

  • 정읍 고사부리성 - 사적 제 494호
  • 정읍 고부향교 - 전북특별자치고 문화재자료 제74호
  • 정읍 유선사 - 전통사찰 54호
  • 정읍 장문리 오층석탑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호
  • 정읍 남복리 오층석탑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95호
  • 정읍 용흥리 해정사지 석탑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96호
  • 정읍 용흥리 석불입상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97호
  • 정읍 남복리 미륵암 석불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99호
  • 정읍 군자정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3호
  • 정읍 두승산성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 54호
  • 정읍 고부관아터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 122호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법정리명, 마을유래 ...
Remove ads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