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루빈

화합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빌리루빈

빌리루빈(bilirubin)은 쓸개즙 색소를 이루는 등황색 또는 붉은 갈색의 물질이며 노화된 적혈구가 붕괴될 때 적혈구헤모글로빈이 분해되어 생성된다. 주로 황갈색을 띠며 에서 생성되는 담즙의 구성 성분이 된다. 대변의 색상은 빌리루빈에 기인한다. 빌리루빈은 담석, 황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간략 정보 식별자, 성질 ...
빌리루빈
Thumb
Thumb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10.218
UNII
  • InChI=1S/C33H36N4O6/c1-7-20-19(6)32(42)37-27(20)14-25-18(5)23(10-12-31(40)41)29(35-25)15-28-22(9-11-30(38)39)17(4)24(34-28)13-26-16(3)21(8-2)33(43)36-26/h7-8,13-14,34-35H,1-2,9-12,15H2,3-6H3,(H,36,43)(H,37,42)(H,38,39)(H,40,41)/b26-13-,27-14- 
    Key: BPYKTIZUTYGOLE-IFADSCNNSA-N 
  • Key: BPYKTIZUTYGOLE-IFADSCNNBS
  • CC1=C(/C=C2C(C)=C(C=C)C(N/2)=O)NC(CC3=C(CCC(O)=O)C(C)=C(/C=C4C(C=C)=C(C)C(N/4)=O)N3)=C1CCC(O)=O
  • Cc1c(c([nH]c1/C=C\2/C(=C(C(=O)N2)C=C)C)Cc3c(c(c([nH]3)/C=C\4/C(=C(C(=O)N4)C)C=C)C)CCC(=O)O)CCC(=O)O
성질
C33H36N4O6
몰 질량 584.673 g·mol−1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확인 (관련 정보 아니오 ?)
닫기

고빌리루빈 혈증

고빌리루빈 혈증(Hyperbilirubinemia)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높은 상태를 말한다. 담관의 폐쇄를 통한 폐쇄성 황달(obstructive jaundice)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