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성 문암리 유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성 문암리 유적(高城 文巖里 遺蹟)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에 있는 석기시대의 유적이다.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6호 고성문암리선사유적으로 지정[2]되었다가,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Remove ads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진리 1번지에 위치한 고성 문암리 선사유적은 동해안에서 내륙 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구릉지대의 남쪽사면 사구(沙丘)위에 형성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신석기시대의 유적 중 최남단에 위치한 유적이며, 인근에는 초기철기시대의 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여러 시기에 걸쳐 형성된 유적이다.
'98년 12월부터 '99년 3월까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전체 유적 중 약 200여평의 발굴조사를 한 결과 5개의 유물 포함층과 3개의 신석기시대 문화층이 퇴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3기의 주거지와 야외 노지 등 다양한 유구가 발견되었다.
발굴유구와 출토유물로 볼 때 국내 최고의 신석기유적으로 알려져 있는 양양 오산리 유적(B.C.6000∼3000)과 연대가 비슷하고 최하층에서 발견된 유구는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한반도 동북지방과 중국의 동북 3성 지방, 러시아 아무르강 연안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의 신석기 문화와 한반도 선사인의 원류 및 이동경로, 당시의 문화계통과 전파정도 등을 밝히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양양 오산리 유적 - 사적 제394호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