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속 패킷 접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속 패킷 접속(영어: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1]는 2개의 모바일 프로토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와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합친 것으로, UMT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존 3G 모바일 전기통신망의 성능을 확장하고 개선한다. 더 개선된 3GPP 표준인 진화형 HSPA(HSPA+)는 2008년 출시되었으며 2010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채택되었다. 더 새로운 표준은 비트레이트가 다운링크에서 337 Mbit/s로, 업링크에서 34 Mbit/s로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속도는 현실에서는 달성되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2]

Remove ads
개요
최초 HSPA 사양은 다운링크 최대 14 Mbit/s, 업링크 최대 5.76 Mbit/s를 지원하였다. 오리지널 WCDMA 프로토콜 대비 레이턴시를 감소시켰고 다운링크에서 최대 5배, 업링크에서 최대 2배 향상된 것이다.
고속 하향 패킷 접속 (HSDP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은 HSPA 계열의 강화된 3G(3세대 이동 통신) 모바일 통신 프로토콜이다. HSDPA의 다른 이름으로는 3.5G, 3G+, 또는 터보 3G가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