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영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영환(1953년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2] 197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정무원 외교부에서 외교관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1980년대 중반 김일성의 프랑스어 통역을 맡았다.[2][5] 1991년 남한으로 망명한 뒤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 26년간 근무하며 부원장을 지냈고, 2023년 9월 통일부 장관 특별보좌역에 위촉되었다.[5][6] 2024년 5월 제27대 국립통일교육원 원장에 임용되었고, 북한 인권 교육의 비중 확대와 현장 체험형 통일교육 강화 등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3][7]
Remove ads
생애
북한에서의 초기 생애와 교육
고영환은 1953년 자강도 강계시에서 태어났다.[1] 평양외국어대학(현 평양외국어대학교)에서 프랑스어문학을 전공하였다.[2]
북한 외교 경력과 김일성 통역
1979년 정무원 외교부에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였다.[2] 1985년부터 1988년까지 외무성 아프리카 관련 부서의 중부아프리카 담당 실무책임을 맡았고, 1986년부터는 김일성의 프랑스어 통역을 겸임하였다.[8] 통역 활동에 대해 본인은 “프랑스어 실력을 인정받아 특별 대우를 받았다”고 회고했다.[5]
탈북과 망명
1989년 11월 콩고(브라자빌) 주재 북한 대사관 참사관으로 근무하던 중 체제 모순과 통제의 한계를 체감하였고, 1991년 5월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였다.[8] 같은 해 9월 입국 사실이 공개되었으며, 이후 남한에서 정착 생활을 시작하였다.[4]
Remove ads
대한민국에서의 연구 및 공직 활동
고영환은 입국 후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 오랜 기간 근무하며 부원장을 역임하였다.[5] 2023년 9월 통일부 장관 특별보좌역에 위촉되어 대북 정보 분석과 대국민 통일 인식 제고 업무를 지원하였다.[6]
국립통일교육원장 (2024– )
2024년 5월 8일자 보도에 따라 국립통일교육원장에 임용되었으며 임기는 2년으로 2026년 5월까지다.[3] 임용 직후 통일교육의 디지털·현장 체험형 콘텐츠 확대 방침을 밝히고, 통일부 유튜브 채널 「케이(K)의 공식)」 런칭 영상에 출연했다.[9] 2024년 5월 2일에는 교육원 개원 기념식 대신 서울 강북구의 북한이탈주민 취약가정을 찾아 생활물품을 지원하는 현장 활동을 진행했다.[10] 2025년 5월 2일에는 강북구 소재 북한이탈주민 가정을 재차 방문해 ‘‘청소기 등 생활용품’’을 전달하는 등 취약계층 정착 지원 활동을 이어갔다.[11] 같은 해 4월에는 국립통일교육원이 2025년판 통일교육 기본교재(⌈2025 통일문제 이해⌋·⌈2025 북한 이해⌋)를 발간했다.[12]
정책·교육 철학
원장 취임 후 통일교육의 핵심 축으로 북한 인권 교육의 비중 확대를 제시하고, 세대별 맞춤형 현장 체험 프로그램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7] 그는 2024년 인터뷰에서 북한 당국의 ‘통일 지우기’ 노선이 주민 사회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객관적 사실에 기초한 교육과 소통을 강조했다.[5]
주요 활동
- 2024년 11월 1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대한민국의 통일정책(8·15 통일구상)’을 주제로 공개 강연을 진행하였다.[13]
경력
저서
- 《북한외교관 고영환이 밝히는 평양 25시》, 고려원, 1992.[14]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