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정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고정비
Remove ads

고정비(固定費, fixed cost)는 회계경제학에서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준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비용을 말한다. 간접비(indirect cost) 또는 고정원가, 간접원가, 오버헤드 비용(overhead cost)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으로 매월 반복적으로 지불되는 임대료, 이자 등이 있으며, 자본 비용(capital cost) 성격을 갖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변동비용은 생산량에 따라 달라지며, 회계연도 초에 확정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고정비는 특정 변동비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Thumb
총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한 도표. 산출량은 가로축으로 표시된다. 총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의 합이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는 매출액과 상관없이 매달 임대료와 공공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빵집의 경우도 매장 임대료와 전화선 비용은 빵 생산량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고정비이다. 반면 생산량을 늘리려면 근로자를 추가 고용해야 하므로 임금은 변동비용이다. 공장에서 기계나 토지를 구입하는 비용은 생산 여부와 무관하게 불변하는 고정비에 해당한다. 반대로 원재료비는 산출량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비용이다.

고정비는 신규 창업자에게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 또한 마케팅에서는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어떻게 구분하는지가 중요하다. 단위 판매량 변화에 따른 수익 예측, 마케팅 캠페인의 재무적 영향 평가에서 이 구분이 핵심적이다. 약 200명의 고위 마케팅 관리자 설문에서 60%가 "고정비와 변동비 구분" 지표를 매우 유용하다고 답했다.[1]

경제학에서는 단기적으로 공장에 고정비가 존재하며 이는 불변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모든 투입요소가 가변적이므로 고정비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Remove ads

설명

고정비는 영구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생산량과 무관하게 계약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창고 임대료는 임대 기간 동안 고정비이지만, 계약이 끝나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모든 비용이 변동비로 전환된다.[2][3]

  • 전용(Committed) 고정비 : 설비, 장비, 조직 등 단기간에 줄이기 어려운 투자의 결과 발생하는 비용.
  • 재량(Discretionary) 고정비 : 경영진의 판단에 따라 매년 지출 여부가 결정되는 비용. 광고, 보험료, 기계 유지보수, 연구개발비 등이 이에 해당한다.[4]

경제학에서 가장 흔히 언급되는 고정비는 자본 관련 비용이다. 예를 들어 공장을 위한 창고 구입, 기계 구입 비용, 일정 수준의 인건비 등이 포함된다. 특정 기업에게는 단기 고정비가 시장 진입을 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회계와 경영관리 측면에서 고정비, 변동비 개념은 경제학과 다르게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가회계활동기준원가계산법에서는 고정비를 활동별로 배분하여 수익성을 측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의사결정을 단순화할 수 있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5][6]

최근에는 많은 기업에서 고정비가 변동비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자동화 생산으로 인한 설비 투자 비용 증가, 감가상각 및 유지보수 비용, 인력 비용의 장기 고정화가 주요 원인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정액 요금제
  • 비용 곡선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