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 | 분쟁 | 요약 | 
|---|
| 11세기 이전 | 
| 4세기 | 스비아인의 왕 아그네가 핀란드를 원정 | 핀인들의 지도자 이름은 프로스테(Froste)라고 기록되어 있다. 출전은 『윙글링 일족의 사가』.[5] | 
| 7세기 | 핀인들이 노르드인들에게 용병으로 고용됨 | 핀인 전사들이 덴마크의 데인인들과 우플란드의 스비아인들에게 용병으로 고용되었다.[6] | 
| 9세기 | 크벤인들이 스웨덴을 노략질 | 출전은 「노르나게스트의 사트르」.[7] 오타르 프라 할로갈란드는 핀인들과 노르웨이인들 사이에 산병전이 벌어졌다고 말한다.[8] | 
| 9세기 | 에이리크 아눈드손의 동정 | 에이리크 왕은 핀란드(오늘날의 핀란드 남서부 본토핀란드를 말함), 키랼랄란드, 쿠를란트, 에스토니아 등 동쪽 나라들을 정복했다고 한다. 출전은 『헤임스크링글라』.[9] | 
| 818년경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뱌르말란드의 분쟁 | 뱌름인들이 데인인의 왕 라그나르에게 항거했는데, 이때 핀인들의 왕 마툴이라는 자가 뱌름인들을 도왔다. 출전은 『데인인의 사적』.[10] 그 연대를 818년으로 비정한 것은 『수오미 연대기』.[11] | 
| 11세기 | 
| 11세기 | 바이킹이 핀란드를 노략질 | 프뢰위게이르라는 추장이 이끄는 바이킹들이 해메 일대를 노략질했고 에길(Egil)이라는 이가 거기 참여했다. 출전은 룬돌 Gs 13. | 
| 1008년 | 헤르달레르 전투 |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2세 하랄드손이 우시마 지역의 어딘가에서 핀인들에게 참패를 당했다.[12] | 
| 1030년경-1050년경 | 바이킹들이 핀란드를 노략질 | 오트뤼그(Ótrygg)라는 바이킹이 핀란드에서 노략질을 하다 죽었다. 출전은 룬돌 U 582. 노략질 시기를 이 때로 비정한 것은 운토 살로다.[13] | 
| 1042년 | 노브고로드의 핀인 정벌전 | 노브고로드 공작 블라디미르 야로슬라비치가 핀인들을 정벌하는 원정을 벌였다.[14] | 
| 1060년경-1080년경 | 리투아니아인의 카리알라인 정벌전 | 출전: 목피 필사본 590번.[15][16] | 
| 12세기 | 
| 1123년 | 노브고로드의 핀인 정벌전 | 노브고로드 공작 브세볼로드 므스티슬라비치가 봄 단식철에 핀인들을 공격했다.[14] | 
| 1142년 | 핀인의 노브고로드 원정 | 핀인들이 노브고로드와 라도가를 공격하는 원정을 일으켰으나 패했다.[17] | 
| 1143년 | 카리알라인의 해메인 정벌전 | 카리알라인들이 바다를 통해 해메인을 공격했으나 배 두 척만 잃고 패했다.[17] | 
| 1149년 | 핀인의 바탸인 정벌전 | 핀인 수천 명이 바탸인을 공격. 노브고로드가 500명을 파병해내 바탸인을 지원.[17] | 
| 1149년 | 노브고로드-수즈달 분쟁 | 카리알라인들이 노브고로드, 프스코프와 연합해 수즈달을 공격했다.[18] | 
| 1155년경 | 제1차 스웨덴 십자군 | 스웨덴 국왕 에리크 9세와 잉글랜드 출신 주교 헨리쿠스가 남서핀인들을 개종시키기 위한 십자군을 일으켰다.[17] | 
| 1171년 또는 1172년 | 그라비스 아드모둠 | 9월 9일,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서한 「그라비스 아드모둠」에서 남서핀인들의 요새화 거주지들을 공략할 것을 호소. 교황은 이 거주지들을 방치한다면 주민들이 언제든지 이교도로 재전향할 것을 우려함.[19] | 
| 1186년 | 노브고로드의 핀인 정벌전 | 노브고로드의 비샤타 바실례비치가 핀인들을 공격했다.[17] | 
| 1187년 | 시그투나 약탈 | 카리알라인(또는 에스토니아인 또는 쿠르인)들이 7월 12일 시그투나를 약탈했다. 웁살라 주교와 야를이 살해되었다.[20][21] | 
| 1191년 | 노브고로드의 핀인 정벌전 |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해군을 동원해 해메인을 공격했고, 카리알라인들이 노브고로드의 편에 섰다.[22] | 
| 1191년 | 덴마크 십자군 | 덴마크의 데인인들이 핀란드에 십자군을 일으켰다.[23] | 
| 13세기 | 
| 1202년 | 덴마크 십자군 | 룬드 대주교 안데르스 수네센과 그 형제가 이끄는 데인인 십자군. | 
| 1221년 | 핀란드 주교가 노브고로드에 통상금지 조치 시도 | 교황 호노리오 3세가 1월 13일 핀란드 주교(아마 투오마스였을 것)에게 노브고로드에 대한 통상금지를 권고했다. 다만 이것은 고틀란드와 한자동맹에게는 불쾌한 일이었다.[24] | 
| 1223년 | 카리알라인들의 노르웨이 원정 | 카리알라인들이 노브고로드와 함께 스칸디나비아 북부의 노르웨이인 정착지를 원정했다.[25] | 
| 1226년 | 카리알라인들의 노르웨이 원정 | 카리알라인들이 또 노브고로드와 함께 스칸디나비아 북부의 노르웨이인 정착지를 원정했다.[25] | 
| 1227년 | 노브고로드의 핀인 정벌전 | 노브고로드 공작 야로슬라프 2세가 핀인들에 대한 원정을 일으켰다.[17] | 
| 1228년 | 핀인들의 노브고로드 정벌전 | 2천 명 이상의 병력으로 핀인들이 라도가 방면을 원정했다.[17] | 
| 1229년 | 남서핀인들이 기독교를 거부하여 저항하다 |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2월 16일자 서한에서 고틀란드가 남서핀인들에게 무기와 군마, 배, 보급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리함으로써 남서핀인들이 기독교를 몰아내려고 저항하는 것을 돕고 있다고 규탄했다.[26] | 
| 1237년 | 해메 분란 |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12월 9일자 서한에서 기독교에서 핀란드 전통종교로 재전향한 해메인들을 징벌해야 한다고 선동했다.[27] | 
| 1240년 | 네바강 전투 | 스웨덴인, 노르웨이인, 남서핀인, 해메인들이 노브고로드에 대한 원정을 일으켰다.[17] | 
| 1241년 | 노브고로드-독일십자군 분쟁 | 코포리예성에서 독일인들을 몰아내기 위해 알렉산드르 넵스키가 거병하자 카리알라인들과 잉그리아인들, 그리고 스타라야라도가인들이 넵스키에게 가담했다.[22][14] | 
| 1249년-1250년 | 제2차 스웨덴 십자군 | 스웨덴이 해메인들을 개종시키기 위한 십자군을 일으켰다. | 
| 1253년 | 카리알라인들이 독일인을 노략질하다 | 카리알라인들이 나르바 일대의 독일인들을 공격해 노략질했다.[22] | 
| 1256년 | 알렉산드르 넵스키의 핀란드 정벌전 | 스웨덴과 남서핀인, 해메인들의 나르바 원정이 실패로 끝난 뒤 넵스키가 그에 대한 보복전으로 핀란드를 공격했다.[17] | 
| 1257년 | 카리알라인들의 스웨덴 원정 | 카리알라인들이 스웨덴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스웨덴 왕 발데마르가 교황 알렉산데르 4세에게 카리알라인에 대한 십자군을 요청하기에 이른다.[22] | 
| 1271년 | 카리알라인들과 크벤인들의 노르웨이 원정 | 카리알라인들과 크벤인들이 노르웨이 최북단 홀로갈란드를 공격했다.[28] | 
| 1278년 | 노브고로드의 카리알라 정벌전 | 노브고로드 공작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가 카리알라인들을 정복하기로 마음먹었다.[17] | 
| 1283년 |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 스웨덴인들과 핀인들이 함께 네바강과 라도가호 일대를 공격했다. | 
| 1284년 | 독일인들의 카리알라 원정 | 독일 군벌 트룬다가 네바강을 거슬러 가 카리알라를 공격했다. 카리알라인들에게서 세금을 뜯는 것이 목적이었다. 트룬다군은 9월 9일 네바강 어귀에서 노브고로드군에게 패퇴했다.[29][14] | 
| 1292년 | 노브고로드의 핀란드 원정 |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핀란드를 공격했다. | 
| 1293년 | 제3차 스웨덴 십자군 | 스웨덴이 카리알라인을 개종시키기 위한 십자군을 일으켰다. | 
| 14세기 | 
| 1318년 | 노브고로드의 핀란드 원정 |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남서핀란드를 공격하고 투르쿠를 불태웠다.[30] | 
| 1323년 | 뇌테보리 조약 | 8월 12일 뇌테보리 조약 조인. 이로써 카리알라는 스웨덴령의 서카리알라와 노브고로드령의 동카리알라로 나뉘었다. | 
| 1337년 | 캐키살미의 난 |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리투아니아 대공자 나리만타스에게 동카리알라의 통치를 위임했는데, 나리만타스의 세금이 과중하여 캐키살미에서 카리알라인들이 들고 일어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