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흥 상림리 삼층석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고흥 상림리 삼층석탑
Remove ads

고흥 상림리 삼층석탑(高興 上林里 三層石塔)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풍양면, 풍양면사무소에 자리하고 있는 삼층석탑이다. 높이가 232cm이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1] 기단에 새긴 기록을 통해 고려 현종 12년(1021)에 세웠음을 알 수 있어, 고려시대 초기 석탑 양식 연구에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1][2] 1992년 3월 9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84호로 지정되었다.[1][2]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내력

이 석탑은 원래 현재 위치인 풍양면사무소에서 약 2~3km 떨어져 있는 풍양면 상림리 577번지 내의 야산에 있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지금 자리로 이전해 온 것으로 전해진다. 이전할 당시에 완형이었는지 알 수 없으나 이전된 상태는 1~3층의 몸체와 상륜부가 완전히 유실된 상태였으며 다만 기단부와 1 ~ 3층의 지붕돌만 남아 있었다.[1] 1990년 몸돌과 머리장식을 새로이 만들어 복원해 놓았다.[2][1]

생김새

탑의 구조는 수매의 판석을 짜 맞추어 지대석을 삼고 그 위로 높직한 2단 각형으로 된 하대지석을 올려 놓았는데 1매 판석이다. 기단부 중석은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는데, 전후면은 끼워 넣는 식이고 좌우로는 벽판석으로 하였다. 이 벽판석으로 된 면석에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天禧五年 辛酉十一月(천희오년 신유십일월) 日(일) … 同心同原爲聖壽天長國泰民安法輪常轉(동심동원위성수천장국태민안법륜상전) 石塔(석탑) 棟樑(동량)

갑석은 1매 판석인데 하면은 부연없이 수평이고 상면은 중앙에 16엽의 아래로 향한[1] 연꽃을 조식하였으나 매우 형식화되었다.[1][2]

새로 만든 탑신의 세 몸돌은 각각 네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 떠 새겼다.[2][1] 2~3층으로 올라가면서 체감되었으나 1층 몸체가 다소 균형을 잃고 있다.[1]

매우 얇아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처마는 가운데에서 직선을 그리다 양끝에서 살짝 들려 있다. 특히 처마 아래로는 물 흐름을 끊는 홈을 파두어 이끼가 끼는 것을 막고자 하였는데 보기 드문 기법이다.[1][2]

상륜부는 노반·복발·앙화·보주가 연결되어 있다.[1]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