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골동품
미술적 및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오래되었거나 희귀한 옛날 물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골동품(骨董品, antique)은 미술사·공예·민속학적 맥락에서 역사적·미학적·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오래된 물건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작 후 100년 이상 경과한 물품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분야·지역·과세 및 통관 규정, 시장 관행에 따라 예외가 인정되기도 한다.[1][2] 희소성과 진정성, 프로비넌스(소장·거래 이력) 등은 가치 형성의 핵심 요소로, 이를 둘러싼 감정·보존·거래의 전문 분야가 발달해 있다.[3]

정의와 범위
어원
한국어 ‘골동(骨董)’은 ‘뼈처럼 마른 오래된 물건’을 뜻하는 한자어에서 유래했다. 영어 antique는 라틴어 antiquus(‘오래된, 옛’)에서 비롯되었다.[5]
역사와 수집 문화

귀중품과 옛 물건을 수집하는 관행은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르네상스 시기 인문주의와 함께 고대 유물·고전 취향이 본격화되었다. 19세기 유럽의 산업화·식민지 팽창과 중산층의 성장, 20세기 박물관 제도와 경매 시장의 정착은 골동품 거래의 제도화를 촉진했다.[4]
분류
- 가구 : 장롱·문갑·협탁 등 목가구. 재료, 짜임(짜맞춤), 마감, 사용 흔적이 감정의 핵심 단서가 된다.
- 도자·유리 : 청자·백자·분청·유리기물 등. 태토·유약·굽·문양·굽번·화문 분석이 중요하다.
- 금속공예 : 청동기·철기·은기·동경·불구(佛具) 등. 합금 성분과 주조·단조 기법, 부식 양상 등 과학감정이 병행된다.
- 서화·판화 : 지질·필획·제발(題跋)·인장(印章)·전각·화첩 구성 등.
- 서책·문서 : 제책법, 지지(紙地), 판본, 소장 인장, 장서표.
- 민속공예·생활자료 : 농기구, 직물·복식, 장신구, 장난감 등 생활사 자료.
평가와 감정
시장과 거래
- 유통 채널 : 경매, 상설 상점(앤티크 숍), 고미술상, 박람회, 온라인 플랫폼 등.
- 가격 형성 : 희소성·수요·작가·상태·출처·동시대 대체품 존재 여부, 국제 규제의 영향 등.
- 위조·사기 예방 : 거래 전 감정서 검토, 강제반입·불법발굴 여부 확인, 확정적 보증 조건 명시 등.
- 법적·국제 규범
Remove ads
보존과 복원
골동품은 원형 보존과 장기적 안정성을 우선하는 가역성 원칙에 따라 취급·복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온·습도 관리, 광선·오염·해충 방제, 적절한 진열·보관 포장 등 예방적 보존이 중요하며, 수술적 복원은 최소 개입을 원칙으로 한다.[11]
관련 용어
- 고미술 : 회화·서예·공예 등 전통 미술품 가운데 역사적 가치가 큰 범주. 골동품과 겹치나 미술사적 맥락이 더 강하다.
- 빈티지 : 대체로 수십 년(약 20~99년) 정도 된 오래된 물건으로, 특정 시대의 양식·미감을 강조한다.
- 레트로 : 과거 양식을 모방한 현대 제작 신품.
- 문화재 : 국가가 지정·등록하거나 법률에 따라 보호되는 유산. 모든 골동품이 문화재는 아니며, 법적 의무와 제재 수준이 다르다.[10]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