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공주 갑사 내원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공주 갑사 내원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Remove ads

공주 갑사 내원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충청남도 공주시,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과 복장유물이다. 2013년 12월 20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29호로 지정되었다.[1][A]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개요

목조석가여래좌상

내원암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원래 갑사 산내암자인 내원암의 인법당에 모셔져 있었던 불상으로 문화재 안전을 위해 현재 갑사 보장각에 보관하고 있다. 결가부좌의 자세에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하였으며 얼굴은 약간 앞으로 숙여 바닥을 내려다보는 자세를 하고 있다. 불상은 둥근 얼굴에 오똑한 콧날, 편평한 콧잔등, 작은 입 등은 큰 나발에 중간 계주와 정상 계주, 두터운 법의와 더불어 조선후기 17세기의 시대적 특징을 보인다.[1]

복장유물

내원암 목조석가여래좌상의 내부에서는 복장물이 발견되었는데 불상과 관련된 시주자와 화원들의 이름이 쓰여진 조성기(造成記) 그리고 고려시대(또는 조선전기)로 추정되는 감지금자사경의 잔편을 비롯하여, 묘법연화경, 다라니, 5곡, 향 등이 발견되었다. 아쉽게도 조성기에는 불상을 만든 연대와 발원문은 쓰여있지 않으나 시주자와 불상을 만든 장인들[B]의 이름 등이 남아 있다.[1]

자세한 정보 번호, 유물명 ...
Remove ads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