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공주 포정사 문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공주 포정사 문루(公州 布政司 門樓)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충청도 관찰사가 공무를 집행하던 선화당 앞에 서있던 포정문(布政門, 정문)이다. 1980년 12월 29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93호 포정사 및 삼문으로 지정되었다가, 2004년 10월 3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삼문은 솟을지붕 형태로 공포를 짜지 않은 소박한 민도리집 계통이며, 양 옆칸은 민가로 사용되고 있다. '포정사 및 삼문'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면서 변형이 있었지만 조선 후기 관아건물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Remove ads
Remove ads
역사
공주는 충청도 전체를 관장하던 지방행정의 중심지로 감영에는 50여 채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선화당과 포정사 및 삼문, 부속건물 1채 만이 남아있다. 원래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옆에 있었는데, 옛 공주군청 옆으로 옮겨지어 공주 제2감리교회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교동에 있던 것을 1993년 선화당 앞 지금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이후 본래 위치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정문에 다시 복원되었다.[2]
구조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