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관권선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관권선거(官權選擧, 영어: governmental elections, government intervention elections)는 정부 또는 정보 기관의 개입으로 특정 후보 또는 정당에 금전, 인력, 상황적 지원을 해 주거나 선거 출마에 방해를 하는 형태의 선거를 뜻한다. 주로 민주주의가 완전히 정착되지 못한 나라에서 나타나나 그렇지 않은 사례도 있다. 큰 틀에서 부정선거에 속하나 대대적 부정 선거 대신 소규모의 금권 또는 인력이 동원되는 사례를 지칭하기도 한다.

Remove ads

명칭

관권 선거의 정의가 행정력을 동원하여 선거에 이용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행정 선거'라고 불리기도 한다. 과거 고무신과 막걸리 등 금품을 나눠 줘 선거를 치른 사례에 대하여도 '고무신 선거', '막걸리 선거' 등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1]

사례

한국

대한민국은 정부가 여당에 유리한 선거 분위기를 만들어 줘 자주 관권 선거 시비에 시달렸다. 이때 선거는 고무신과 막걸리 등 금품을 나눠줘 '고무신 선거', '막걸리 선거'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2]

해외

  • 터키에서 에르도안 대통령이 여당인 정의개발당에게 유리하게 개발 정책을 추진하고 독립적인 선거 감시 기구에 대한 약화를 추진하였다.[3]
  • 러시아에서 푸틴 대통령이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의 공약에 맞춰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정부 예산을 선거에 투입하였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