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관리종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관리종목은 증권거래소가 유가증권 상장 규정에 의거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되는 종목 가운데, 특별히 지정한 종목을 말한다.
관리종목은 제2부 종목과 마찬가지로 신용거래 대상에서 제외되며, 대용증권으로도 활용할 수 없다. 그리고 매매방법도 별도의 제한을 받아 전장과 후장별로 매매 입회시간 범위 내에서 접수된 호가를 동시호가로 취급하며 가격 결정은 단일 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의 방식을 취한다.[1]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반복되면 상장폐지될 수 있다.
지정 요건
- 형식적 요건: 1)분기/반기 사업보고서 미제출, 2)회계법인 감사 의견으로 '한정 의견'을 받은 경우 등
- 실질적 요건: 1)매출액 미달(연 30억원 미만), 2)자본잠식(자본잠식률 50% 이상,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3)주식 분포 미달(소액주주 수 200인 미만, 소액주주 지분 20% 미만), 4)거래량 미달(분기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 주식수의 1% 미만), 5)시가총액 미달(시가총액 40억원 미만이 30일간 지속), 6)최근 4개연도 연속 영업손실 등
- 기타 요건: 공시 의무 위반(2년간 불성실 공시를 한 법인으로 벌점 15점 이상)[2]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