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광과민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광과민증(光過敏性)이란 망막을 통해 들어오는 시신경세포가 정상인보다 적거나 미성숙해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뇌에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얼렌 증후군(Irlen syndrome)이라고도 한다.

주요 증상

  • 특정한 파장의 빛을 감지하지 못해 시신경에 과부하가 걸린다.
  • 눈의 피로, 주의력 결핍, 글자의 왜곡현상, 눈부심, 두통, 혼란 어지럼증
  • 앞에 있는 글씨나 물건이 흐리게 보이고, 글씨는 괄호형으로 퍼져 보이거나 여러 개로 겹쳐 보이기도 한다.
  • 글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난독증(難讀症)도 이의 일종이다.

발견

광과민성증후군을 처음 발견하고 치료기술을 개발한 사람은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얼렌(Helen L.Irlen)으로 '얼렌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얼렌은 1980년대 정부로부터 학습장애아에 대한 연구 의뢰를 받아 조사하던 중 환자들의 시지각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그리고 일정한 파장의 빛을 파단해 줌으로써 시신경의 과부하를 줄여주는 치료법을 개발하게 됐다.

참고

광과민성증후군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