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광주군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의 옛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광주군(光州郡)은 광주광역시의 옛 행정 구역이다. 1935년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개칭하였다.[1]

상세
조선시대에는 전라도 광주목(光州牧)에 속하였고, 갑오개혁으로 광주부(光州府)를 설치하였다. 이후 광주군(光州郡)으로 개편되었으며, 전라남도의 일부 면이 흡수 및 통합되었다. 1949년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으며, 1986년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며 광주군의 대부분 지역이 편입되었다. 남은 광주군의 지역은 광산군이 되었으며, 이마저도 1995년에 광주광역시에 광산구로 편입되면서 사라졌다.
역사
- 1914년의 행정구역[2]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 41면 - 성내면, 공수방면, 부동방면, 기례방면, 지한면, 석저면, 상대곡면, 하대곡면, 우치면, 갑마보면, 석제면, 삼소지면, 천곡면, 마지면, 거치면, 흑석면, 와곡면, 소고룡면, 우산면, 고내상면, 소지면, 동각면, 마곡면, 선도면, 당부면, 방하동면, 대지면, 계촌면, 칠석면, 유등곡면, 덕산면, 내정면, 황계면, 군분면, 서양면, 두방면, 오치면, 도천면, 효우동면, 갈전면, 대치면
- 15면 - 광주면, 지한면, 석곡면, 우치면, 본촌면, 비아면, 하남면, 임곡면, 송정면, 동곡면, 서창면, 대촌면, 극락면, 서방면, 효천면
- 1923년 효천면 양림리, 교촌리, 지한면 홍림리 일부, 원지리, 서방면 동계리, 신안리 각 일부를 광주면에 이관하였다.
- 1931년 4월 1일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하고,[19] 우치면과 본촌면을 지산면(芝山面)으로 합면하였다. (1읍 13면)
- 1935년 4월 1일 서방면, 지한면, 효천면, 극락면의 각 일부가 광주읍에 편입되고, 효천면과 지한면을 효지면(孝池面)으로 합면하였다.[20] (1읍 12면)
-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개칭하였다.[1] (12면)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