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일 필요 충분 조건은
인 것이다. 즉, 임의의 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항등식
교환자는 다음과 같은 항등식을 만족시킨다.[1]:4 여기서
는 켤레 원소
를 나타낸다.
![{\displaystyle x^{y}=x[x,y]}](//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be4013d1700ce7329efa3f45331d5d2151c80f8)
![{\displaystyle [y,x]=[x,y]^{-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12cb086f360be80fa790f5c1900aae2685410ef)
and ![{\displaystyle [x,yz]=[x,z]\cdot [x,y]^{z}}](//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838d3b8828b6d6a3acc2dda8acb07e47a66582b)
and ![{\displaystyle [x^{-1},y]=[y,x]^{x^{-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a69ab69ab699becf6e24f460004f5deb0b2fdda)
- (홀-비트 항등식 영어: Hall–Witt identity)
![{\displaystyle [[x,y^{-1}],z]^{y}[[y,z^{-1}],x]^{z}[[z,x^{-1}],y]^{x}=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5e91d1b7de267c2093dd14e22f0a62782d8abd8)
- (홀-비트 항등식 영어: Hall–Witt identity)
![{\displaystyle [[x,y],z^{x}][[z,x],y^{z}][[y,z],x^{y}]=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a2da63db69dc8f2fadab9875b6a7245958fa42e)
홀-비트 항등식은 환론의 교환자의 야코비 항등식과 유사하다.
또한, 임의의 군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xy)^{2}=x^{2}y^{2}[y,x][[y,x],y]\qquad \forall x,y\in G}](//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67cbb8514046dca1755b87b4cb47368d773b345)
만약
의 교환자 부분군이 중심에 속한다면 (
), 다음이 추가로 성립한다.
![{\displaystyle (xy)^{n}=x^{n}y^{n}[y,x]^{\binom {n}{2}}\qquad \forall x,y\in G}](//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cdedcc6161e5d05670720b84fba80a05bc5cfa2)
교환자 부분군
주어진 군
의 원소들 가운데 어떤 교환자로 표현될 수 있는 것들은 일반적으로 부분군을 이루지 않지만, 교환자 부분군이라 불리는 부분군을 생성한다. 즉, 교환자 부분군은 (유한 개의) 교환자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