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황실재산사무총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구황실재산 사무총국 또는 구황실재산 사무국, 구왕궁사무처는 미군정과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으로, 1945년 11월 8일 조선총독부 이왕직을 개조하여 구황실사무청으로 설립하였으며, 구 대한제국 황실의 재산 및 서울특별시내와 주변의 각종 궁궐 전각 등의 관리 업무를 맡았다. 1948년 8월 16일부로 구왕궁재산관리위원회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다시 1955년 6월 8일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1961년 10월 2일 문화재관리국으로 이름을 변경, 구황실 재산 및 한국 국내에 있는 조선왕조 및 이전 왕조들의 문화 유산을 포괄 관리하는 부서로 변경되었다.
설립 당시 구황실 재산 규모
일본 방송인 출신 작가 혼다 세쓰코는 영친왕의 비서를 지낸 조중구의 메모를 통해 1945년 해방 직전 옛 조선 황실의 재산 목록을 보여주고 있다. 옛 조선 황실의 재산은 부동산 임야 6만4천 정보(1정보는 3천 평),밭 91만 평, 논 32만 평, 택지 31만 평, 동산은 미술품 1만 수천 점, 은행 통장예금 680만엔, 유가증권 250만엔, 현금 50만엔 등이었던 것으로 나타난다고 자신의 저서로 1980년 한국에 번역된 책 <비련의 황태자비 이방자>(범우사, 1980)에 기록해두었다.[1] 혼다 세스코에 의하면 조중구의 메모에 전국 곳곳에 자리잡고 있었던 궁전과 묘지는 빠져 있었다 한다.[1]
또한 조선 각 왕의 왕릉, 왕비능, 원소를 관리할 참봉(參奉)을 임면하였다. 조선과 대한제국의 교지 형식이 아닌 조선총독부에서 도입한 가로줄 공책 형태의 임명장에 참봉 임명, 퇴직 사령장을 발행하였으며, 구왕궁 도장과 구왕궁의 인장을 찍어 발급하였다. 조선시대 각 왕릉, 왕비능, 원소의 참봉 임명장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전까지 발행되었다.
Remove ads
재산 압수 과정
- 1954년 국회에서 구황실재산처리법이 제정되면서 이때 대한제국 황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구황실 재산 전체는 국유화되어 대한민국 정부의 소유가 되었다.
연혁
- 1945년 11월 8일 미군정 훈령으로 조선총독부 이왕직 폐지 결정. 이왕직청과 구황실관리위원회로부터 구 황실 재산 관련 업무를 인수인계받아 미군정 산하 구황실사무청 출범.
- 1945년 미군정법령 제26호에 따라 구왕궁사무쳐 장서각 설치. 구왕궁의 문서들은 1955년에 창경원사무소 장서각으로 이송, 이관됨
- 1947년 구왕궁사무소 또는 구왕관사무소(舊王官事務所)로 명칭 혼용
- 1948년 8월 16일 기관명을 구황실사무청에서 구왕궁재산관리위원회로 명칭 변경. 청사는 창덕궁 내.
- 1950년 4월 8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법률 제119호 구왕궁재산처분법 제정, 본문 7개조, 부칙 2개조. 이때 황실의 재산은 국유화, 처분되었다.
- 1950년 ~ 1952년 6.25 전쟁 중 구왕궁 사무처 장서각 내의 서적들 일부 소실, 유실, 방화로 사라짐
- 1954년 9월 23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법률 제339호 구황실재산처리법 제정, 구 황실 재산 전체를 국가 소유로 함.[2], 본문 12개조와 부칙 2개조.
- 1955년 6월 8일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개편
- 1960년 6월 6일 창경궁 경내에 설치된 사무총국청 사무실에 의문의 방화 사건 발생, 목조 2층 80평의 건물과 서류 대부분이 전소됨
- 1960년 7월 12일 구황실재산 관리특별위원회 설치[3]
- 1961년 10월 2일 구황실재산사무총국 폐지. 문화재 관리업무를 포괄적으로 관장하는 문화재관리국에 흡수.
기관
![]() |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구 황실사무국은 덕수궁 내에 목조 20평 가건물로 조성되었으며, 종묘에도 구 황실사무국 종묘사무소가 개설되어 있었다. 종묘 사무소의 사무소장은 사무관 보직이었다.[4] 그밖에 총무과, 경리과, 영선과, 산림과 등의 조직이 있었다. 직원 정원은 총 98명이었다.
- 총무과, 과장은 서기관
- 산림과, 과장은 서기관
- 영선과, 과장은 서기관 또는 기정
- 창경원, 과장은 서기관 또는 기정
- 덕수궁미술관, 서기관
- 경복궁사무소, 사무관
- 종묘사무소, 사무관
직제 (1960년 5월 당시)
- 총무과
- 문화과(신설)
- 관리과(신설)
- 영선과, 건축기정
- 창경원, 원장 농업기정
- 덕수궁미술관
- 창덕궁사무소(신설), 행정사무관
- 경복궁사무소, 행정사무관
- 종묘사무소, 행정주사
Remove ads
역대 청장
구황실사무청장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 이O용 ~ 1948년 5월 1일
- 윤홍섭 1948년 5월 1일 ~
차장
- 윤홍섭 ~ 1948년 5월 1일
구황실재산관리위원회 위원
구왕궁재산관리위원회 사무총국장
- 이병주(李丙胄) 1950년 3월 21일 ~ 1952년 1월 3일
- 이동제(李東濟) 1952년 1월 4일 ~ 1953년 4월 23일
- 윤우경(尹宇景) 1953년 4월 23일 ~ 1955년 6월 8일
구황실재산사무총국장
- 윤우경(尹宇景) 1955년 6월 8일 ~ 1960년 4월 1일
- 임시, 오재경(吳在璟) 1959년 2월 19일 ~ 1960년 3월 31일
- 오재경(吳在璟) 1960년 4월 1일 ~ 1960년 6월 9일
- 오재경(吳在璟) 1960년 6월 10일 ~ 1961년 1월 13일
- 이수길(李壽吉) 1961년 1월 13일 ~ 1961년 7월 7일
- 한당욱(韓唐頊) 1961년 7월 8일 ~ 1961년 10월 2일
구황실재산사무총국 총무과장/총무국장
Remove ads
기타
식기 도난 사건
1946년 9월 28일부터 9월 30일 창덕궁 준원전에 있던 이화문양이 새겨진 은 그릇, 도금식기 등 시가 백만원 상당의 식기, 그릇이 도난당했다.[5]
각주
참고 자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