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군의무사령부

대한민국 국군의 의무사령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군의무사령부(國軍醫務司令部, 영어: The Armed Force Medical Command(AFMC/MEDCOM))는 국군 환자 등의 전문적 진료와 군진의학(軍陳醫學)의 연구·발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 기능사령부이다. 대한민국 국군에 대한 의무 지원 및 군진의학 관련 업무를 전담한다.

간략 정보 국군의무사령부, 활동 기간 ...
Remove ads

역사

사령부는 휴전 이후의 1954년 3월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육군 의무기지사령부로 창설되었다. 1971년 1월 국방부 직할로 개편되어 부대명칭이 현재의 국군의무사령부가 되었다. 1984년 9월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99년 12월에는 다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로 이전하였다.

조직

지도부

  • 사령관
  • 부사령관
  • 참모장

부서

  • 감찰실
  • 법무실
  • 군종실
  • 기획관리처 - 대령
    • 기획과
    • 재정과
  • 인사행정처 - 대령
    • 인사과
    • 근무행정과
  • 정보작전처 - 대령
    • 정보작전과
    • 교육훈련과
    • 동원과
  • 보건운영처 - 대령
    • 보건과
    • 원무운영과
    • 예방의학과
  • 군수처 - 대령
    • 의무물자과
    • 의무장비과
    • 시설환경과
  • 의료관리처 - 대령
    • 의료관리과
    • 의료경영과
  • 의료정보통신실 - 중령
    • 계획과
    • 체계개발과
    • 운용과

[1]

국군병원

6.25 전쟁이 일어나기 2년 전인 1948년 5월 1일에 서울 영등포에서 통위부 직할 제1육군병원이 창설된 것을 시작으로, 10월 15일에 충청남도 대전에 제2육군병원, 11월 20일에 전라남도 광주에 제3육군병원, 1949년 2월 2일에 부산에서 제5육군병원, 7월 1일에 영등포 대방동에서 수도육군병원이 차례로 창설되었다. 이후 6.25 전쟁 중에 11개 육군병원이 추가로 창설되었다.

이러한 야전병원들은 휴전 이후에도 각 군별로 따로 운영되어 왔으나, 이는 운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으므로 국군의무사령부가 발족한 1971년 1월에 통합병원으로 단일화되었고, 1984년 9월에 국군병원으로 개칭되었다.[2]

현존 국군병원

해체된 국군병원

Remove ads

역대 사령관

육군의무기지사령부

자세한 정보 #, 계급 ...

국군의무사령부

자세한 정보 #, 계급 ...

계보

  • 1954년 3월, 육군의무기지사령부
  • 1971년 1월, 국군의무사령부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