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립식량과학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립식량과학원(國立食糧科學院,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은 식량작물·사료작물·풋거름작물·바이오에너지작물 등의 품종개량, 재배법개선, 생산 환경 및 품질보전에 관한 시험·연구와 기술지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의 소속기관이다. 2008년 10월 8일 발족하였으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혁신로 181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으로 보한다.[2]

간략 정보 설립일, 전신 ...
Remove ads

직무

  • 시험연구사업, 예산·성과관리, 대외협력 및 홍보의 계획 및 조정
  • 보안, 관인관수, 인사, 급여, 회계, 결산, 용도에 관한 사항
  • 작물의 유전·육종 및 생리·생태에 관한 연구
  • 벼·맥류·밭작물·사료작물·유지작물·풋거름작물·서류의 품종개량 및 재배기술개발
  • 작물 생산 환경의 보전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식량자원의 개발 및 이용증진에 관한 연구
  • 고령지작물[3]·감자의 품종개량, 재배기술개발 및 산지환경관리에 관한 연구
  • 북방농업 작물에 관한 기술개발
  • 바이오에너지작물·고구마 및 남부지방 소득작물의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개발
  • 수확물의 품질보전 및 이용증진에 관한 연구
  • 간척지에서의 작물의 재배 기술개발 등 간척지 이용에 관한 연구
  •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식량작물의 고부가가치화 연구
  • 현장실증시험·연구 및 기술이전

연혁

  • 1957년 5월 28일: 농사원 소속으로 농업시험장 설치하고 소속기관으로 이리지장을 둠.[4]
  • 1961년 10월 2일: 농사원 시험국의 하부조직인 작물원예부로, 이리지장을 이리시험장으로 개편.[5]
  • 1962년 4월 1일: 농사원 작물원예부를 농촌진흥청 소속 작물시험장으로, 이리시험장을 이리지장으로 개편.[6]
  • 1962년 4월 10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소사·음성·대구지장 설치.[7]
  • 1963년 12월 17일: 수도육종연구소를 설치하고 작물시험장 이리지장을 폐지.[8]
  • 1965년 4월 21일: 수도육종연구소를 호남작물시험장·영남작물시험장으로 개편. 작물시험장 소사·음성·대구지장 폐지.[9]
  • 1967년 12월 9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철원출장소를, 호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해남출장소를 설치.[10]
  • 1970년 4월 8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강화지소 설치.[11]
  • 1972년 11월 29일: 해남출장소 폐지.[12]
  • 1973년 9월 6일: 광주출장소 폐지.[13]
  • 1978년 5월 10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남양·춘천·철원출장소를, 호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계화도출장소를 설치.[14]
  • 1981년 6월 12일: 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진부출장소를, 호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운봉출장소를, 영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영덕출장소를 설치.[15]
  • 1982년 5월 15일: 영남작물시험장 소속으로 상주출장소 설치.[16]
  • 1994년 12월 23일: 호남작물시험장·영남작물시험장을 호남농업시험장·영남농업시험장으로 개편.[17]
  • 1999년 5월 24일: 남양·진부·운봉출장소 폐지.[18]
  • 2004년 1월 9일: 작물시험장을 작물과학원으로, 호남농업시험장·영남농업시험장을 작물과학원 소속 호남농업연구소·영남농업연구소로 개편.[19]
  • 2008년 10월 8일: 국립식량과학원으로 개편.[20] 계화도출장소 폐지.[21]
  • 2015년 2월 24일: 전주혁신도시로 이전.[22]
Remove ads

조직

원장

중부작물부[26][27]
남부작물부[26]
  • 밭작물개발과[24]
  • 논이용작물과[24]
  • 생산기술개발과[24]

소속기관

자세한 정보 명칭, 소재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